암호화 암호화(Encryption) [목적] 인증(Authentication),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부인방지(NonReputation)
[원리] 대체, 블록, 치환, 확장, 혼돈, 확산, 압축
[방식] 대체법(Substitution), 치환법(Transposition), 대수법(Algebraic글자->숫자),빈도수분석법,
비즈네르 암호화, 스테가노그래피
[유형] 대칭키(비밀키)-스트림(LFSR,SEL,RC4), 블록(DES,IDEA,SEED,RC5,AES)
공개키-이산대수기반, 소인수분해기반, 타원곡선방식(ECC), 전자서명방식
*암호학적 강도 높이기 위해 혼돈
(Confusion)과 확산(Diffusion) 이용
이소타전
인기무부
대블치확혼확압
대치대빈비스
토픽 이름 () 암호화
분류 암호화 > 암호화(Encryption)
키워드(암기) 인증, 기밀성, 무결성, 부인방지, 가용성, 대치, 블록화, 치환, 확장, 압축, 혼돈, 확산,
스트림 암호화, 블록 암호화, 대칭키, 비대칭키
암기법(해당경우) 인기무부가, 대블치확혼확압, 정스블키대비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암호화에서의 Challenge-response 방식 113.관리.1.2
2 암호화 알고리즘을 정보단위, (Key) 적용 방식, 암호화 기술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하시오. 98.관리.1.5

 

I. 암호화 개요

. 암호화 정의

- 알고리즘과 암호화 (key)를 이용해 평문(Plain text) 형태의 메시지암호문(Cipher text)으로 변환하는 과정

 

. 암호화 목적

목적 설명 적용기술
기밀성(Confidentiality) 보장 - /수신자 외에는 메시지의 내용을 없음 -
무결성(Integrity) 보장 - 정보의 조작 변경 방지 -
인증(Authentication) - 시스템 사용자에 대한 신원 확인 - 인증서

 

. 암호화 원리

구분 내용
대체(Substitution) -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의 각 글자를 다른 글자로 대체, ex) 1->a, 2->b
치환(Transposition) - 문자열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표현
혼돈(Confusion) - 평문의 작은 변화가 암호문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 것인지를 예측 불가한 속성
확산(Diffusion) - 평문을 구성하는 각각의 bit정보가 암호문의 여러 bit들로 분산되는 속성
확장(Expansion) - 무의미한 문자를 삽입하여 문자열을 확장
압축(Compaction) - 문자열에서 일부 문자를 삭제하여 압축문과 삭제문을 분리

 

II. 암호화 개념도 구성요소

. 암·복호화 개념도

 

. 암호화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평문(Plain text) - 암호화 하고자 하는 문장
암호 알고리즘(Encryption Algorithm) - 암호화와 복호화에 이용되는 알고리즘
(Key) - 암호화 알고리즘의 매개변수
암호문(Cipher text) - 평문을 암호화 알고리즘과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문장

 

III. 암호화 분류(유형)

특성 기능 적용기술
정보단위 스트림 암호 - 한번에 1비트 혹은 1바이트의 디지털 데이터를(스트림) 암호화하는 방식
- 암호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름
- 암호화 에러 파급 효과가 적음

블록 암호 - 평문 블록을 단위 블록으로 나누어 암호화 블록을 생성하는 방식
- 평문에 혼돈성을 주어 해독을 어렵게
- 완성된 암호문에 내용 추가 변경이 어려움
키 형태 비밀키 암호화
(대칭키)
- 송신자와 수신자가 공유한 비밀키로 암호화 복호화 하는 방식
- 구현 용이. 빠른 암호화

공개키 암호화
(비대칭키)
- 송신자와 수신자가 각각 공개키-비밀키 한쌍을 보유. 상대방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정보를 전송하면 공개키에 해당하는 비밀키로 복원하는 방식
- 암호해독 어려움, 분배의 용이
- 전자서명
암호화
기반기술
SPN - 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 (대체순열구조)
- 전치와 치환을 이용하여 관용 암호 방식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방식) 문제 해결
- 128 비트를 44 행렬로 나타내어 행렬을 이용한 암호화
- 적용 알고리즘: AES, ARIA

Feistel
(피스텔)
- N 비트의 블록을 N/2 둘로 나누고, R번의 라운드 만큼 반복된 연산
- 라운드 함수를 반복적으로 적용, 이전 블록 암호문과 평문을 XOR (Exclusive-OR) 형태
- 적용 알고리즘: DES, SEED

인수분해 - 소수 p q 곱셈은 쉬우나 n으로부터 p q 추출하기 어려운 이용
- 적용 알고리즘: RSA

이산대수 - 이산대수의 계산은 어렵지만, 역함수/지수함수의
계산은 빠르게 수행하는 특징을 이용
- 적용 알고리즘: Diffie-Hellman, DSA

해시함수 - 임의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메시지를 받아들여 고정된 길이의 출력 값으로 바꾸어주는 알고리즘
- 단방향: 원래의 입력 값을 찾아내기 불가능, 역상 저항성
- 적용 알고리즘: MD-5, SHA-1, SHA-2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