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22301
(ISO 22301:2012)
[정의] 재해 , 재난 테러 등 예기치 못한 위기로 업무 중단 위험이 발생한 경우 최단 시간 내 핵
심업무를 복구 하기 위한 최상의 시행안과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국제표준
[대상] 조리계지운성(수)개
조직, 리더쉽, 계획수립, 지원, 운영, 성과관리(수행평가), 개선
조직의 상황-BCM 관리자를 위한 조직의 역할, 이해관계자와 요구사항 설정, BCM 범위 설정
리더십(지도층)-경영진의 책무, 업무 연속성 방침, 최고경영진 책임 및 권한
계획수립- 업무 연속성 목적 제시, BCM 관련 계획 수립, 위험요소 식별등
지원- 자원관리, 수행능력 구축, 내/외부와의 커뮤니케이션
운영-운영계획수립 및 통제관리, 업무영향분석 및 위험평가,RTO 기준
성과관리- 감시, 측정, 분석 및 평가, 내부감사, 관리자 검토
개선- 부적합 및 시정조치, 지속적 개선
[구성요소]
공통 (1장-적용범위, 2장-인용표주, 3장-용어와정의)
Plan(4장~7장, 조직현황,리더십,계획,지원)
DO(8장,운영)
Check 9장 수행평가,
act - 10장 개선
* 효과
- 비용절감, 서비스 신뢰성 향상, 브랜드 가치 보호
- 위험관리, 비즈니스 복구, 정보보안관리
PDCA
MTPD: 최대 중단 허용 기간
MBCO: 최단 비즈니스 복구 목표
조리계지운성개
토픽 이름 () ISO 22301
분류 MG > BCM > ISO22301
키워드(암기) PDCA, 구성요소는 암기 필요
암기법(해당경우) [조리계지운성개] 조직, 리더십, 계획수립, 지원, 운영, 성과평가, 개선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13. ISO22301 대해 설명하시오 201407 합숙2
2 3. ISO 22301 201810 관리

 

I.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의 국제표준, ISO 22301 개요

정의
-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해 BCP 수립에서 도입, 운영, 검토까지 지속적인 개선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한 BCMS국제표준



 

II. ISO 22301 구성도 구성요소

. ISO 22301 구성도

 

. ISO 22301 구성요소

단계 설명
Plan (계획 수립) BCM 정책 전략 수립, 프로세스 절차 수립
Do (실행 운영) 수립된 BCM 정책, 프로세스 절차의 이행 운영
Check (모니터링 검토) BCM 운영결과 검토
내부감사 및 경영진 보고, 개선활동의 결정
Act (유지 개선) 경영진 검토, BCM 정책에 근거한 교정활동으로 BCM 유지관리 및 개선

 

III. ISO 22301 주요 내용 효과

. ISO 22031 주요내용

구분 설명
직의 상황 BCM 관리자를 위한 조직의 역할
이해관계자와 요구사항 설정, BCM 범위 설정
더십
(지도층)
경영진의 책무, 업무 연속성 방침
최고경영진 책임 및 권한
획수립 업무 연속성 목적 제시, BCM 관련 계획 수립
위험요소 식별, 위험평가, 영향분석, 재난위험요소에 대한 전략계획, 경감계획, 대응 계획
자원관리, 수행능력 구축, /외부와의 커뮤니케이션
운영계획수립 및 통제관리, 업무영향분석 위험평가
복구 및 모의훈련을 통한 검증, 복구목표시간(RTO) 기준
과관리 감시, 측정, 분석 평가, 내부감사, 관리자 검토
부적합 및 시정조치, 지속적 개선

 

. ISO 22301 효과

 

<추가>

1.BS 25999

- BSIBS 25999 규격에서 ISO 22301:2012으로 2012년 5월 16 변경

- BS 25999-2 인증을 위한 규격서의 모든 핵심 비즈니스 연속성 요소들은 현재 ISO 22301 포함

 

2.BS 25999 구성요소

BS25999-1 표준의 목적, 가이드라인, 권고사항을 설명하는 실행 지침(Code of Practice)
BS25999-2 규격(Specification)으로써, 모든 비즈니스 위험의 관점에서 비즈니스 연속성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활동 및 상세요건을 기술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 마이닝  (0) 2024.01.19
ISMP  (0) 2024.01.18
핀테크(FinTech)  (0) 2024.01.17
프롭테크  (0) 2024.01.16
신경망분석  (0) 2024.01.15
프로세스 마이닝
(Process Mining)
[정의] 다양한 정보시스템(ERP, BPM, SCM등)에 저장된 정보시스템 로그를 분석하여 업무수행 결과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 및 지식을 추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 및 방법론
[목적]프로세스 셕별, 가시화, 개선
[구성요소](프성정현)
1. 프로세스 모델링
- TQM, BPR, PI, SCM, CRM, BSC, BPM
- 조직 전략과 개인(또는 정보시스템) 사이의 간격을 메워주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문서화와 개선, 관리가 조직 성과 달성기술.
2. 조직성과 도출
- 프로세스 성과측정, 프로세스 모델 도출, 조직 모델 도출
3. 정보시스템 로그
- 정보시스템 로그, 조직 및 인력, 자동화도구
4. 현실세계
- 프로세스 향상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활용
- 활동들과 사건들, 상태들, 통제 흐름 논리들을 그래프로 표현
[기법] (발순확)
1. 발견: 기존의 프로세스부터 정보르르 추출해 새 프로세스 찾아내는 기법
2. 순응도 검사 :이벤트로그 프로세스 모델간 일치 정보 분석
3. 확장 :원래 프로세스 개선/확장 시켜 서비스 적합성 상승 시키고, 발견된 프로세스 모델 확정 BPM,PI적용
BPM
3단락. 프로세스 마이닝 활용방안
bpm/bpr 사업진단,평가
프성전현
발순확

 

토픽 이름() Process Mining
분류 MG > Mining > Process Mining
키워드(암기) 프로세스 마이닝 기술, 발견(Discovery), 순응도(적합도) 검사(Conformance Checking),
향상(Enhancement) 또는 확장(Extension)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1. 프로세스 마이닝의 개념과 필요성, 기술요소와 연구분야, 적용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8.관리.2교시
2 프로세스 마이닝(Process Mining) 대하여 설명하시오 96.정보관리1.11
3 최근 빅데이터 기반의 기업 비즈니스 활성화 전략에 따라 프로세스 마이닝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프로세스 마이닝의 개념과 주요 기술에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2014.05.관리.3교시

 

I. 기업 경영관리의 필수요소, 프로세스 마이닝의 개념

. 프로세스 마이닝 (Process Mining) 정의

-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는 혁신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로부터 업무 수행과 관련된 여러가지 정보를 분석

- 다양한 정보시스템(ERP, BPM, SCM) 저장된 정보시스템 로그를 분석하여 업무수행 결과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 및 지식을 추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 및 방법론

 

. 프로세스 마이닝의 목적

 

프로세스 식별 실제 상황을 반영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발견, 업무 흐름 확인
프로세스 가시화 직관적 판단을 위한 프로세스와 성과를 다양한 형태로 표현
프로세스 개선 성과 지표를 반영하여 프로세스와 조직의 성과관리 및 개선 방향 도출

II. 프로세스 마이닝 구조도 구성요소

. 프로세스 마이닝 구조도

 

- 프로세스 마이닝은 인터뷰 없이, 데이터로부터 현재 수행이 되고 있는 업무 수행 모델에 가장 가까운 모델을 도출할 수 있고,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정확하게 반영

 

. 프로세스 마이닝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프로세스 모델링 - TQM, BPR, PI, SCM, CRM, BSC, BPM
- 조직 전략과 개인(또는 정보시스템) 사이의 간격을 메워주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문서화와 개선, 관리가 조직 성과 달성기술.
조직성과 도출 - 프로세스 성과측정, 프로세스 모델 도출, 조직 모델 도출
정보시스템 로그 - 정보시스템 로그, 조직 인력, 자동화도구
현실세계 - 프로세스 향상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활용
- 활동들과 사건들, 상태들, 통제 흐름 논리들을 그래프로 표현

 

III.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 개념도 상세설명

.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 개념도

.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 상세설명

 

 

IV. 프로세스 마이닝 활용 방안

- 선정된 핵심 프로세스들에 대해서 프로세스 마이닝을 통해서 자동화된 방식으로 프로세스 모델을 도출하면 아래와 같이 [진단] [평가] 단계 수행의 효율과 정확성을 극적으로 향상시킬 있음.

V. Process Mining,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RPA(Robot Process Automation)의 비교

 

  Process Mining BPM RPA
개념 이미 수행된 업무로부터 이벤트로그를 수집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도출 프로세스를 모델링, 분석, 측정, 개선, 최적화 자동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목표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
프로세스를 운영관리하여 기업 성과를 향상 사람이 하던 현재 방식을 그대로 모방하여 자동화 대체
특징 Bottom-up 방식 Top-Down 방식 기계 간(M2M) 통신
관련성   1. 시스템을 통합관리 모니터링하기 위해 로그를 통한
프로세스 관리(프로세스마이닝) BPM보완


2. RPA 도입 전체 프로세스를 분석(프로세스마이닝)하여
도입 구간ㆍ타당성 검증하고 업무효율성 측정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22301  (0) 2024.01.20
ISMP  (0) 2024.01.18
핀테크(FinTech)  (0) 2024.01.17
프롭테크  (0) 2024.01.16
신경망분석  (0) 2024.01.15
ISMP
(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정의] 특정 SW 개발 사업에 대한 상세 분석과 제안요청서(RFP)를 마련하기 위해 기능점수 도출 가능수준까지 요건을 기술하여 구축전략 및 이행 전략 수립하는 활동
[목적] ISP 수행범위 한계점 해결, 부적절 발주 관행 해결, 요구사항 명확화
[수행 절차]
프로젝트 착수 및 참여자 결정 > 정보 시스템 방향성 수립 > 업무 및 정보 기술 요건 분석 > 정보시스템 구조 및 요건 정의 >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이행방안 수립

1)프로젝트 착수 및 참여자 결정 - 경영진자원 조직 형성, 프로젝트 수행 조직 편성, 프로젝트 계획 수립정보
2)정보 시스템 방향성 수립 - 정보화 전략 검토, 벤치마킹 분석, 정보시스템 추진, 범위 및 방향정의
3)업무 및 정보기술 요건 분석: 업무 및 정보기술 현황 분석, 업무요건 분석, 정보기술요건분석,
4)정보시스템 구조 및 요건 정의- 정보시스템 아키텍쳐 정의, 요건 간 이행 연관성 분석, 정보시스템요건 기술서 작성5)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이행 방안 수립 - 구축사업계획 수립, 분리발주 가능성 평가, 정보시스템 예산 수립, RFP 작성, 정보시스템 구축 업체 선정 평가 지원
 

 

토픽 이름()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분류 IT경영전략 > 전략 계획 >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키워드(암기) ,EA/ITA, Bule Print, AS-IS/TO BE모델, 산출물, RFP, 기능점수(FP)
암기법(해당경우) [참방 요분정이]
목차 정의 > 수행절차 > 비교(ISP, EA/ITA.)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정보전략계획(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대하여 아래의 사항을 설명하시오.
  . 단계별 활동 산출물
  .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비교
127 관리 3
2 대부분 공공부문 소프트웨어 사업에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적용하고 있다. ISMP 방법론 체계를 설명하고,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이행방안 수립 절차와 산출물을 설명하시오. 125.정보관리.2
3 정보시스템 마스터 플랜(ISMP, 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방법론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 ISMP 정의               . ISMP 수행 단계
.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방법론과의 차이점
125.컴시응.2
4 3.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정의 목적
. ISMP 수행방법론 체계와 절차
. ISP, EA/ITA, ISMP 비교
119_관리_4
5 4. ISMP(Information Strategy Master Plan) 개념을 설명하고 ISP(Information Strategy Plan), EA(Enterprise Architecture)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90_관리_3교시
6 2. ISMP(Information Strategy Master Plan) 대해 설명하시오. 합숙_2018.01_공통_3D

 

I. 정보시스템 마스터 플랜, ISMP 의 정의 및 목적

. ISMP 정의

- 특정 SW 개발 사업에 대한 상세 분석제안요청서(RFP)를 마련하기 위해 기능점수 도출 가능수준까지 요건을 기술하여 구축전략 및 이행 전략 수립하는 활동

. ISMP 목적

목적 핵심요소 설명
ISP 수행범위
한계점 해결
대상 시스템 구체화 - 실제 구축될 시스템이 제공할 서비스의 내용, 기능, 기술적 요구사항 등 ISP 수행 범위의 한계를 해결
부적절 발주
관행 해결
RFP 효율화 - RFP는 마스터플랜 수립 후 SI기업의 도움을 받아 작성하는 것으로 인식
- RFP 작성시 ISP 내용을 거의 참고하지 않는 관행 해결
요구사항 명확화 기능/비기능 기술 요구사항 - 비즈니스적 기능/비기능 요구사항과 기술적 요구사항, 프로젝트 지원 요구사항 상세화 통한 RFP 작성 및 구축 사업계획 수립

- 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상세화하여 사업 규모 및 예산의 객관화된 산정과 함께 불합리한 과업 변경을 최소화

- 분석, 설계 단계의 기간 지연 및 개발 일정 단축으로 인한 SW품질 저하 방지

II. ISMP 수행 방법론 체계 절차

. ISMP 수행 방법론 체계 (참방 요분정이)

 - ISMP 수행 방법론 체계는 5단계로 구분되며, 반복적으로 여러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업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한 사이클만 수행하는 것으로 설계

 

. ISMP 수행 절차

체계 세부 절차 수행 활동
프로젝트 착
수 및 여자
결정
경영진 지원조직 형성 - 프로젝트 관련 조직 파악 - 경영진 지원조직 확립 활동 수행
- 경영진 의사결정권자 결정
  프로젝트 수행 조직 편성 -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역할 정의
- 프로젝트 수행조직 인력 결정 - 리더십 확보를 위한 활동 수행
  프로젝트 계획 수립 - 프로젝트 수행 계획 수립 - 의사소통 계획 수립
- 프로젝트 수행 의사소통 계획 검토
정보시스템
향성 수립
정보화 전략 검토 - 정보화 전략 방향 검토 - 정보시스템 사업 이해
- 정보시스템 관련 과제식별
  벤치마킹 분석 (Optional) - 벤치마킹 조사대상 선정
- 벤치마킹 준비, 벤치마킹 실시
  정보시스템 추진 범위 및 방향 정의 - 정보시스템 구축 범위 정의 - 정보시스템 사용자 그룹 정의
- 정보시스템 추진 방향 목표 정의
  정보시스템 범위 및 방향 검토 - 정보화 전략과의 방향 일치 검토
- 정보시스템 추진 범위 검토
업무 및 정보 기술 업무 및 정보기술 현황 분석 - 업무 프로세스 분석 - 응용 아키텍처 분석
- 데이터 아키텍처 분석 - 기술기반 아키텍처 분석
  업무 요건 분석 - 업무 요건 분석 준비 - 최종 사용자 요구사항 도출
  정보기술 요건 분석 - 도입대상 장비 요건 분석 - 데이터 요건 분석
- 어플리케이션 성능 요건 분석 - 표준화 요건 분석
- 테스트 요건 분석 - 보안 요건 분석
- 시스템 운영 요건 분석 - 교육 기술지원 요건 분석
- 프로젝트 지원 요건 분석
  업무 및 정보기술 요건 검토 - 업무 정보기술 요건 최종 검토
- 업무 정보기술 요건 우선순위 평가
정보시스템 구조 및 요건 정보시스템 아키텍처 정의 - 정보시스템 To-Be 아키텍처 정의
- 재사용 가능한 구성요소 파악
  요건 간 이행 연관성 분석 - 정보시스템 요건 연관성 분석
- 이행 연관성을 고려한 구축사업계획 권고사항 도출
  정보시스템 요건 기술서 작성 - 정보시스템 요건 기술 표준 정의
- 측정범위와 어플리케이션 경계 식별
- 기능/비기능/기술적 요건 기술
  정보시스템 요건 기술서 검토 - 정보시스템 요건 기술서 점검
- 정보시스템 요건 기술서 최종 검토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행방안 수립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계획 수립 - 정보시스템 구축 범위 확정
- 정보시스템 기대효과 추진 전략 수립
- 정보시스템 추진 조직 정의
-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일정 계획
  분리발주
가능성 평가
- 관련 패키지 조사
- 분리 발주 가능성 분석
- 패키지 수정 추가개발 범위 분석
  정보시스템
예산 수립
- 정보시스템 기능 점수 산정
- 정보시스템 예산 검토
  RFP 작성 - 제안요청서(RFP) 목차 수립, 세부 내용 작성 검토
- 제안 안내서 작성
  정보시스템
구축 업체 선
, 평가 지원
- 정보시스템 구축업체 선정, 평가 준비 수행

- 단계는 세부 수행활동(액티비티)으로 구성되며 필수 활동과 선택 활동(Optional)으로 구분

 

 

III. ISP, EA/ITA, ISMP 비교

가. ISP, EA/ITA, ISMP 비교 개념도

나. 개념 비교2

EA/ITA 조직의 전략적인 목표 및 정보자원 관리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의 IT 비즈니스(업무) 관계를 총괄하여 설명하는 “청사진 (수도, 전기, 가스 공사 한번에 하자!!!)
ISP 조직의 경영목표 전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보화 전략 및 비전을 정의하고 IT 사업(과제) 도출 및 “Road-Map수립활동
ISMP 특정 사업분석과 RFP 작성을 위해 업무 정보기술현황과 요구사항을 상세히 기술하고, 구축 전략 이행 계획을 수립하는 활동

 

. ISP, EA/ITA, ISMP 상세비교

구분 ISP EA/ITA ISMP
개념 조직의 경영 목표 전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보화 전략 및 비전을 정의하고 IT사업(과제) 도출road-map 수립하는 활동 조직에 사용되는 정보 기술을 활용한 아키텍처와 시스템들을 총괄한 것으로 업무 및 관리 프로세스와 정보기술 간의 관계를 표현한 청사진 특정 사업 분석과 RFP 마련을 위해 업무 및 정보기술에 대한 현황,요구사항을 상세히 기술하며, 구축 전략이행 계획을 수립하는 활동
목적 경영전략과 정보화 전략 연계 및 새로운 정보기술 반영 비즈니스와 정보기술간의 유연한 융합 특정 정보시스템의 기능적, 기술적 요구사항 상세화
범위 전사, 서비스 또는 부서 대상 정보화전략 비즈니스,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기술 아키텍처 단위프로젝트 또는 단위 프로젝트의 묶음
주요활동 경영환경 분석
최신 정보기술 동향분석
업무분석
정보시스템 구조 분석
정보전략 및 정보관리 체계 수립
미래업무 프로세스 및 정보시스템 구조 설계
To-Be 로드맵 수립
기업 내/외부 환경분석
EA 목적 및 방향정의
EA 프레임웍 정의
참조모델 정의
EA 원칙 수립
현행 아키텍처 정보 구축
목표 아키텍처 구축
EA 관리 체계 정의
정보시스템 구축 범위 및 방향 수립
정보시스템에 대한 기능적, 기술적 요건도출
정보시스템 구조 및 요건 상세기술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이행계획수립
정보시스템 예산 산정 및 업체 선정/평가 지원
주요 산출물 경영환경 분석 및 정보기술동향 분석 보고서
업무 및 정보시스템
분석 보고서
IT비전 및 전략
이행과제 및 로드맵
EA 비전, 원칙
참조모델(BRM, SRM, DRM, TRM)
AS-IS/TO-BE 아키텍처 (비즈니스,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기술)
EA 거버넌스
RFP
정보시스템 예산

- ISMP EA/ITA 목표 아키텍처 구조 이행 계획 수립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22301  (0) 2024.01.20
프로세스 마이닝  (0) 2024.01.19
핀테크(FinTech)  (0) 2024.01.17
프롭테크  (0) 2024.01.16
신경망분석  (0) 2024.01.15
핀테크(FinTech) 금융+기술 융합, 컨버전스, 간편결제, 인터넷전문은행
비대면서비스
   

 

토픽 이름 () 핀테크
분류 MG > Commerce> 핀테크
키워드(암기) 금융+기술, 인터넷전문은행, 간편결제, 비대면서비스, 컨버전스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국내 핀테크 서비스 동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6.컴시응.4.4
2 6. 최근 핀테크 인터넷전문은행, 간편결제 서비스의 등장으로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보안 기술의 중요성이강조되고 있다. 최근 비대면 보안기술로 각광받는 기술들의 개념과 특징을 열거하고, 이들을 비교 설명하시오. 110.관리.2.6
3 2.핀테크(Fin-Tech)의 블록체인 기술(Blockchain Security Technology) 108.컴시응.1.2
4 1.전자금융과 핀테크를 비교하고 OPEN API 이용한 금융데이터 공유 활성화를 설명하시오. 108.컴시응.4.1
5 2. 최근 대두되는 인터넷전문은행을 설명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핀테크 오픈 플랫폼을 활용할 있는 방안을 설명하시오. 107.관리.3.2
6 3. 핀테크(FinTech)를 정의하고 보안측명의 이슈와 해결방안을 설명하시오 105.관리.1.3
7 1. 생체인식은 기존의 인증방식과 비교하여 보안성과 편리성에서의 장점으로 핀테크, 헬스케어 개인인증 서비스에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최근에 스마트폰에 안면인식 기능이 탑재되고 있고, 지문인식의 대체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안면인식 과정과 주요 안면인식 알고리즘 특징을 설명하고 안면인식 서비스 현황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합숙_2018.01
8 3. 최근 핀테크 업체, 인터넷전문은행을 중심으로 금융산업 전반에 모바일 서비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서비스의 서비스인 비대면서비스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고, 모바일서비스 개발방안을 제시하시오. 합숙_2017.08
9 8. 핀테크 시대의 핵심기술로서 블록체인에 대한 사업이 정부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동시에 스마트 계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블록체인의 개념과 필요성
. 블록체인 플랫폼에서의 합의 알고리즘
. 스마트 계약의 개념과 주요특성
합숙_2017.08
10 2. 최근 핀테크 산업의 육성과 연계를 위한 금융권 공동의 오픈 API플랫폼이 구축되었다. 오픈 API플랫폼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오픈 API플랫폼의 구성 요소 활용 방안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합숙_2017.01
11 3. 최근 한국은행 산하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사무국 직속으로 핀테크정보화 워킹그룹과 코인리스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동전없는 사회(Coinless Society) 대해 기술하시오. 합숙_2017.01
12 1. 최근 핀테크 산업의 육성과 연계하여 금융위원회를 중심으로 금융권 공동의 오픈 API플랫폼을 구축 중에 있다. 오픈 API플랫폼의 필요성과 특징을 설명하고, 오픈 API활용 방안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합숙_2016.07
13 1. IoT기반의 헬스케어, 핀테크 등의 모바일 지능화가 발전하면서 생체 정보를 활용한 개인 인증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바이오 인식 기술의 분류를 설명하고 기존의 바이오 인식 기술의 위조나 변조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한 생체신호를 이용한 개인인증 기술에 대해 설명하시오. 합숙_2016.07
14 5. 핀테크 오픈 플랫폼(FinTech Open Platform)에 대해 설명하시오. 합숙_2016.01
15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보안 기술 방안을 설명하시오. 합숙_2016.01
16 핀테크 산업을 위해 기존의 보안은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다음에 답하시오
. 정보보안 관점에서 핀테크 특징을 설명하시오
. 변화되어야 하는 핀테크 보안 패러다임을 설명하시오
. 제시한 핀테크 보안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방안을 설명하시오
합숙_2015.07
17 5. 핀테크(Fintech) 대해서 설명하시오 합숙_2015.01
18 해외에서는 온라인 대출시장, 크라우드 펀딩등 핀테크(FinTech) 서비스들이 급성장하고 있다. 아래 물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핀테크의 개념
. 국내 핀테크 산업이 더딘 이유에 대해 국내와 미국의 규제방식의 차이
. 핀테크 활성화를 위해 완화해야 규제
. 핀테크 영역 확대를 위한 기술
합숙_2015.01
19 5. 생체인식은 기존의 인증방식과 비교하여 보안성과 편리성에서의 장점으로 핀테크, 헬스케어 개인 인증 서비스에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최근에 스마트폰에 안면인식 기능이 탑재되고 있고 지문인식의 대체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안면인식 과정과 주요 안면인식 알고리즘 특징을 설명하고 안면인식 서비스 현황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모의_2018.01
20 1. IT 기술을 금융에 접목해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핀테크 서비스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과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 활동 현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7.01
21 3. 최근 핀테크 산업의 육성과 연계를 위한 금융권 공동의 오픈 API 플랫폼이
구축되었다. 오픈 API 플랫폼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오픈 API 플랫폼의 구성 활용
방안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모의_2016.10
22 6. 핀테크 애플리케이션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갈래이기 때문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을 그대로 따른다. OWASP 재단의 모바일 보안 프로젝트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취약점 10 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핀테크 애플리케이션 관점에서 OWASP Mobile TOP 10 Risks 설명하고 해결방안을 설명하시오.
모의_2016.07
23 2. 핀테크의 활성화로 인하여 보안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보다 안전하고 사용이 편리한 인증방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관련 기술 비대면 인증기술에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6.07
24 5. 핀테크 애플리케이션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갈래이기 때문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을 그대로 따른다. OWASP 재단의 모바일 보안 프로젝트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취약점 10 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핀테크 애플리케이션 관점에서 OWASP Mobile TOP 10 Risks 설명하고 해결방안을 설명하시오.
모의_2016.07
25 금융위원회에서는 2015 12 월부터 '비대면 실명확인' 허용하며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내용을 설명하시오.
. 비대면 실명인증의 등장배경
. 비대면 실명인증을 위한 비대면 보안 인증기술
. 비대면 실명인증 방식 사례
모의_2016.06
26 금융위원회에서는 2015 12 월부터 '비대면 실명확인' 허용하며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내용을 설명하시오.
. 비대면 실명인증의 등장배경
. 비대면 실명인증을 위한 비대면 보안 인증기술
. 비대면 실명인증 방식 사례
모의_2016.06
27 비트코인에서부터 시작된 블록체인 기술은 최근 핀테크 기술과 융합되어 기존 중개자 역할을 대체하고 있는데 블록체인(BlockChain)의 구조와 종류에 대해 설명하고 이더리움(Ethereum)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6.05
28 핀테크에 대한 관심과 기대감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본질적인 카드사 정보유출 사고 해킹 등으로 ICT 기술을 활용한 금융서비스의 안전성 확보에 있어서는 아직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핀테크 활성화 위해 다양한 측면의 보안 기술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6.05
29 11. 핀테크 오픈플랫폼(FinTech Open Platform)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모의_2016.04
30 11. 핀테크(Fin-Tech) 기술금융(Technology based Financing)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5.12
31 최근 핀테크 열풍 속에서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어떻게 기존 금융 시스템을 혁신할 있는지 설명하시오. 모의_2015.12
32 핀테크의 발전에 따라 편리한 금융서비스들이 경쟁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편리하고 안전한 금융 서비스를 위한 이상금융거래 탐지시스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 FDS(Fraud Detection System) 주요기능
. FDS(Fraud Detection System) 탐지모델
. FDS(Fraud Detection System) 도입 사전 고려사항
모의_2015.10
33 7. 핀테크 대출약정서비스에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5.07
34 최근 핀테크 등의 모바일 환경 기반의 고신뢰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 산업의 확대에 따라 FIDO(Fast Identity Online) 같은 인증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다음 질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FIDO 개념 특징
. FIDO 표준 프로토콜
. FIDO 활용 방안 동향
모의_2015.07
35 최근 정부차원에서 정책방향을 변경하면서 핀테크에 대한 육성 및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핀테크에 대한 주요 서비스 유형을 설명하고, 국내 핀테크 시장활성화의 선제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5.06
36 핀테크 관점에서 애플페이와 삼성페이에 대해 설명하고 사용성/통신/보안 관점으로 비교하시오. 모의_2015.06
37 핀테크의 등장배경과 핀테크 산업을 분류하고, 핀테크를 위한 보안기술 패러다임 전환과 이로 인한 핀테크가 정보보호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5.05
38 핀테크(Fintech) 대해 다음을 설명하시오.
. 핀테크의 등장배경
. 핀테크 서비스 영역
. 국제적 핀테크 서비스 동향
모의_2015.04

 

1. 국내 핀테크 서비스의 개요

-. 국내 핀테크 서비스는 2015년부터 핀테크육성을 위해 국가정책적으로 제도개편과 산업지원을 단행해왔지만 주목받는 핀테크기업이 출현하지 못하고 혁신적인 서비스가 부족한 실정임

-. 정부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정책, 기술, 보안측면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중임

2. 핀테크의 개념도 기술요소

 . 핀테크 개념도 (*Revolut : https://www.revolut.com/)

나. 핀테크(Fintech)의 기술요소

구분   기술요소 설명
비보안 통신 NFC - 접촉식 결제 수단
    BLE - BLE 통한 정보 전달
    MST - 마그네틱 신용카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시켜 결제
  S/W Open API - 핀테크 오픈 플랫폼
    금융 SI - 인터넷 전문은행
  데이터 분석 빅데이터 - 마케팅, 부정거래 감시
보안 인증 IC Tagging - IC카드에 인증정보 입력 스마트폰으로 인증
    FIDO -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데이터
보호
TEE - 단말 보안 (하드웨어 기반 블록체인 기술 종류)
    토큰화 - 모바일, 온라인 상거래에서 기존의 신용카드 정보를 디지




털 토큰으로 전환(보안 강화, 위변조 방지)
  모니터링 FDS - 이상거래 탐지시스템

 

 

 

 

3. 핀테크(Fintech)의 보안문제 및 해결방안

가. 핀테크(Fintech)의 보안문제

  사전보안



간편함, 편리함, 간소화

사후보안  
  기존 금융IT     FinTech  
  사용자에 대한 보안 유지, 인증 책임 부과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보안 유지 책임 강화
FDS 등의 적극적 적용
 
문제점     설명    
개인금융정보 유출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한 Mobile 이나 Web상에서 개인 금융정보의 유출
가능성 존재
   
Fraud 발생     새로운 거래 채널이 생겨남에 따라 기존 FDS시스템의 Detect 피해 나가
는 새로운 금융 사기 및 도용 사고 발생 가능성 존재
   
다채널에 의한 관리범위 증가     여러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픈 된 채널의 증가에 따른 보안관리
요소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관리해야 하는 요소 및 비용의 증가
   
           

나. 핀테크(Fintech)의 보안문제 해결방안


편의성과 보안성의 Trade Off관계를 극복하고 높은 편의성과 보안을 제공하는 핀테크 기술의 개발과 육성이 필요하며, 금융 분야에 고른 성장과 발전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

 

관점 해결방안 설명
관리 전사적 위험관리 전략 결제 전반의 기술, 정책적 보안 대책을 통합수립하고 내부조직에 반영
  FDS적극 활용 - 사후보안 강화 간편결제 기반마련 결제이탈 최소화 규모의 경제
- 지불결제 프로세스의 결제 선순환 구조 마련
  자율적 책임의식 보안 사고에 대해 서비스 제공자가 스스로 보안을 증명/책임지는 문화
기술 IT신기술 금융서비스 융합 SNS,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신기술 적극적인 금융
서비스와의 융합 시도
  편의성 확보 위한 웹 표준 활용 Web 표준 활용한 OS, Browser 독립적인 서비스 제공
  다양한 보안수단 활용 및 선택 OTP, SMS, 보안 SW, Token 다양한 인증 수단을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여 안전한 거래 유도
정책/제도 금융보안 수준 인증제 도입 국제 수준에 부합하는금융 보안 수준 인증제’를 도입하여 국내 금융시장 파트너십 활성화
  시장에 의한 보안 강화 유도 - 금융회사에서 모든 재무적 피해를 보상하게 되어 있어, IT 컨버전스에 소극적임.
- 세부적인 재무적 보안적 절차를 마련 필요
  핀테크 육성 투자환경 개선 - 핀테크 육성 컨트롤 타워의 정립,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준비 및 투자를 저해하는 규제 개선 검토

- 안전한 금융거래와 편리한 금융시장 형성을 위해 인력/기술/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 필요.

[참고]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 마이닝  (0) 2024.01.19
ISMP  (0) 2024.01.18
프롭테크  (0) 2024.01.16
신경망분석  (0) 2024.01.15
DRP  (0) 2024.01.14
프롭테크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2010년대 들어 유럽을 중심으로 모바일 채널과 빅데이터 분석, VR 등 하이테크 기술을 기반으로 등장한 부동산 서비스 기업    

 

토픽 이름 프롭테크(PropTech)
분류 IT 경영전략> XTech> 프롭테크(PropTech)
키워드(암기) 부동산(Property)+기술(Technology)
스마트 부동산, 콘테크, 크리테크, 홈테크, 스마트시티, 크라우드펀딩, VR, 공유경제
리드문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1. 다양한 사업은 ICT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혁신을 일구어 간다.
다음에 대해 답하시오
. 프롭 테크(PropTech)
. 밀리 테크(MiliTech)
. 에이블 테크(AbleTech)
ITPE FR_2021.01
2 3. 프롭테크(Proptech) 대하여 설명하시오. ITPE FR_2020.06

 

I. IT 부동산을 결합한, 프롭테크(PropTech) 정의

 . 프롭테크(PropTech) 정의

 -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 합성어로 2010 년대 들어 유럽을 중심으로 모바일 채널과 빅데이터 분석, VR 하이테크 기술을 기반으로 등장한 부동산 서비스

 . 프롭테크(PropTech) 특징

구분 설명
편리성 데이터의 접근성 및 전문성을 강화해 정보를 쉽게 획득
효율성 시간, 공간의 제약을 넘어선 효율적인 경험이 가능
확장성 다양한 기술 적용을 통해 더 나은 공간 확보 가능

 

II. 프롭테크의 개념도 구성요소

 . 프롭테크의 개념도

 

. 프롭테크의 구성요소

항목 내용
빅데이터 매물검색, 중개인 연결, 공유 오피스, 공유 주택 등과 같은 부동산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 및 중개 서비스 제공
가상현실(VR) / 증감현실(AR) - 현장에 가지 않고도, 매물을 직접 확인할 있음
- 3D 건축 설계, 인테리어 디자인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
사물인터넷(IoT) 사물인터넷과 센서 기술 등을 기반으로 임차인과 건물을 관리해주는 서비스 제공(스마트 , 스마트 빌딩 )
핀테크(FinTech) 대출 및 크라우드 펀딩과 같이 부동산 투자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투자 자문 서비스 제공

 

III. 프롭테크 사례

 

 

용어설명

ConTech : Contruction + technology 4 산업을 활용해 건설공정의 생산성을 높이는 혁신기술

CRETech : Commercial Real Estate Technology, 상업용 부동산 기술

RETech : Real Estate Technology 부동산 기술

Sharing Economy: 부동산 공유 개념

HomeTech : 첨단 ICT기술을 활용해 일상의 편의를 높이는 기술

Ontact: 비접촉 방식을 의미하는 언택트(Untact) 온라인을 통한 외부와의 연결을 뜻하는 단어 (On)을 접목한 개념 ICT기술을 활용해 온라인으로 소통하는 방식과 라이프스타일 총체를 말한다.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MP  (0) 2024.01.18
핀테크(FinTech)  (0) 2024.01.17
신경망분석  (0) 2024.01.15
DRP  (0) 2024.01.14
BIA  (1) 2024.01.13
신경망분석 [정의] 인간두뇌 세포를 모방한 개념으로 뉴런들의 상호작용하고 경험을 통해 배우는 생물학적 활동을 반복적인 학습과정으로 모형화하는 분석 기법
[구성요소]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 활성화 함수, 가중치
[학습유형]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자기지도학습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토픽 이름 () 신경망(Neural Network)
분류 AL > 기계학습 알고리즘 > 신경망
키워드(암기) 구조(입력층, 은닉층, 출력층, 활성화함수, 가중치) 학습유형(지도학습, 자율학습)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2. 인공신경망의 오류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 119-응용-1
2 4. 시계열분석에 관한 다음 사항에 대하여 답하시오.
. 시계열분석의 정상성(Stationary)
. 시계열모형의 유형(자기상관 모형, 이동평균 모형, 자기회귀누적이동평균 모형)
. 빅데이터의 시계열자료 분석을 위한 심층신경망 기법
114-관리-3
3 6. 인공 신경망의 가장 단순한 형태인 퍼셉트론(perceptron) 구조와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대하여 설명하고, 단층 퍼셉트론으로는 Exclusive-OR 연산을 학습할 없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113-관리-2-6
4 2.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신경망(Neural Network) 분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2-관리-3-
6 6. 신경망에서는 뉴런 사이 정보 전달 과정에 작용하는 최적의 가중치를 알아내는 과정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된 다음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역전파 알고리즘(Backpropagation) 경사감소법(Gradient Descent)
. 경사감소소멸(Vanishing Gradient Descent)
. 과적합(Overfitting)
KPC-75-관리-3-5
7 4. 다음의 데이터 마이닝 기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 연관규칙탐사
. 신경망
. K-means Clustering
KPC-72-응용-4-4
8 5. 기계학습의 있어 다음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 기계학습의 유형
. 인공신경망
. 딥러닝 모델 적용사례
KPC-69-응용-4-5
9 1.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간이 뇌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컴퓨터에서 채택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이다. 인공신경망의 동작원리를 성명하고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KPC-46-관리-4-1

 

I. 인간두뇌 세포를 모방한 의사결정 및 상황판단 기술신경망 분석의 개요

. 신경망 분석 or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정의

- 인간두뇌 세포모방한 개념으로 뉴런들의 상호작용하고 경험을 통해 배우는 생물학적 활동을 반복적인 학습과정으로 모형화하는 분석 기법

- 기계학습 그리고 인지과학에서의 인공신경망(人工神經網, artificial neural network 아티피셜 뉴럴 네트워크) 생물학의 신경망(동물의 중추신경계, 특히 )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

- 인공신경망은 시냅스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 뉴런(노드) 학습을 통해 시냅스의 결합 세기를 변화시켜, 문제 해결

. 신경망 분석의 특징

 

II. 신경망 분석 방법

. 신경망분석 구성도

. 신경망 분석 구성요소

구분 주요내용
입력층 - 학습을 위한 기초데이터 입력계층(Input Layer)
출력층 - 학습을 통해 도출된 결과값을 출력하는 계층(Output Layer)
은닉층 - 다중신경회로망에서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존재
- 정보를 전파, 학습, 활성화(Hidden Layer)
전달(활성화)함수 - 임계값을 이용 뉴런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
가중치(연결강도) - 활성화 함수의 입력값으로 사용되는 뉴런간의 연결계수

III. 신경망 분석 학습유형

입력형태 학습방법 신경망 모델
디지털 입력 지도학습 - Hopfield network
[참고] 지도 학습 (영어: Supervised Learning)은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유추해내기 위한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방법 , 지도학습기(Supervised Learner) 하는 작업은 훈련 데이터로부터 주어진 데이터에 대해 예측하고자 하는 값을 올바로 추측해내는 것

자율학습 - Art model
자율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은데이터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알아내는 문제의 범주에 속한다. 방법은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 혹은 강화학습 (Reinforcement Learning)과는 달리 입력값에 대한 목표치가 주어지지 않는다자율 학습은 데이터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고 설명할 수 있다자율 학습의 예로는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들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는 독립 성분 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있다.

지도/자율학습 결합 - Carpenter network
준 지도 학습(영어: Semi-Supervised Learning)이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범주로 목표값이 표시된 데이터와 표시되지 않은 데이터를 모두 훈련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대개의 경우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훈련 데이터는 목표값이 표시된 데이터가 적고 표시되지 않은 데이터를 많이 갖고 있다.
아날로그
입력
지도학습 Perceptron, multilayer perceptron

자율학습 Competitive learning, self-organization map(SOM)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테크(FinTech)  (0) 2024.01.17
프롭테크  (0) 2024.01.16
DRP  (0) 2024.01.14
BIA  (1) 2024.01.13
Data Mining  (1) 2024.01.12
DRP
(Disaster Recovery Plan)
[정의] 재해발생시 정해진 절차대로 혼선 없이 업무복구 순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수립한 절차와 문서의 집합
[구성요소]
DRS 문서 (DRS구성도, 운영절차서)
복구계획서 (시스템복구 계획서, 업무복구 계획서, 비상연락체계, 비상연락망)
훈련계획서 (복구이동절차, 복구시나리오, 평가 및 보완사항)
[관리방안] 업무 복구 순서, 정기/비정기 모의훈련


 

 

토픽 이름 () DRP
분류 MG > BCP > DRP
키워드(암기) Disaster Recovery Plan, 정기/비정기 훈련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연거래 10조원 전자상거래 서비스의 재해 복구를 위한 DRP 특징, 개념도, DRP작성 절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시오. 합숙_2015.07.응용.Day2
2 1-10.DRP(Disaster Recovery Plan) 현행화를 위한 테스트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합숙_2013.01.공통.4일차
3 자연재해 및 인재에 따른 사회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난 재해의 신속한 대응을 위한 사업영속성계획(Business Continuity Planning)활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음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 BCP DRP(Disaster Recovery Planning)의 비교를 통한 BCP 개념
. BCP수립단계 활동
. BCP관련 표준 ISO27001 사업연속성관리 통제항목
모의_2014.07.관리.4교시

 

  1. 비즈니스 연속성 보장을 위한 체계적인 재해복구계획, DRP 개요

. DRP(Disaster Recovery Planning정의

- 재해발생시 정해진 절차대로 혼선 없이 업무복구 순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수립한 절차와 문서의 집합

 

. DRP 필요성

구분 설명
업무 복구 순서 결정 - 데이터 손실에 따른 직접적인 손실비용
- 법규나 규정에 의한 법률적인 책임비용
복구 R&R 부여 - 업무중단에 따른 기회손실비용
- 직원의 휴무로 인한 인건비 손실비용
기타 손실비용 - 투자 장비들이 원래의 목적을 이루지 못함으로 인한 투자 상실비용
- 기업의 이미지 하락에 의한 손실비용
- 감독기관의 감독강화에 의한 감사비용

 

 

 

 

 

 

 

  1. DRP 구성요소 문서 세부내용
구성요소 설명
DRS - Disaster Recovery System 구성, 위치, 운영절차 수립
- HA FT 구성, SAN, NAS 구성, DWDM 통한 실시간 백업
복구계획서 (BIA반영) - 업무 복구 순서 복구 R&R, 재해상황통제 비상연락망
- H/W, S/W, N/W 복구절차, 업무복구절차 가동확인 절차
훈련계획서 - 정기적인 재해복구 훈련을 위한 계획서 훈련 시나리오
- 훈련 시나리오 업무 복구 정상확인 방법 기술

 

  1. DRP 문서 효율적 관리방안
관리방안 설명
업무 복구 순서 - BIA 반영한 핵심 업무 후속업무 복구순서 결정
정기/비정기 모의훈련 - 정기/비정기 모의훈련을 통해 절차 내재화 평가/보완

 

  1. DRP 문서 세부내용
문서종류 문서내용 세부내용
DRS 문서 DRS구성도 DR 센터 구성도 H/W, S/W, N/W 구성도

운영절차서 DR 센터 동기화방안, DRS 시스템 가동 운영절차
복구계획서 시스템복구 계획서 H/W, S/W, N/W 복구 순위에 따른 복구 절차서

업무복구 계획서 핵심업무와 후속업무 순위에 의한 업무복구절차

비상연락체계 상황보고절차 및 상황실 운영 절차

비상연락망 시스템 및 업무복구인원 비상연락망 벤더 연락처
훈련계획서 복구이동절차 DRS 복구 인원의 연락 이동 절차

복구시나리오 복구 스크립트 및 가동 후 확인방법 명시

평가 및 보완사항 훈련의 평가 및 미비사항 보완 대책

 

  1. 재난 종류에 따른 대응 방안 및 DRP 테스트 유형
재난(장애) 유형 대응방안
시스템 장애 Clustering
네트워크 장애 이중화
DISK 장애 RAID, Mirroring
스토리지 장애 Data Replication
어플리케이션 장애 Restore(Disk, TAPE)
DB장애 Restore(Disk, TAPE)
전산센터 재해 Remote Data Replication

 

 

  1. DRP 테스트 유형
테스트 유형 내용 테스트 강도
Cheklist - 재난복구계획*(DRP)의 계획서 및 절차서를 각 사업단위의 담당자에게 배포되어, 계획의 절차나 오류를 점검/검토 낮음


















높음
Structured Walk-
Through(구조적 점검)
- 사업 단위의 관리자의 대표들이 계획을 점검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수행하며, 구조적 점검의 수행 목적은 조직의 복구 능력을 성공적으로(문서상 – 계획서상) DRP에 반영했는지를 확인
Simulation(시뮬레이션) - 실제 비상사태가 났다는 가정하게 시스템 운영 관련 주요 관리자와 직원들이 비사 모임을 갖고 복구 절차를 검토하는 단계
Parallel Test
(병렬 테스트)
- 모든 직원을 활용하여 복구 계획에 대해 완전하게 테스트
Full-interruption Test
(전체 시스템 중단 테스트)
- 실제로 재난이 발생할 때와 동일한 운영 시스템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Test 수행

 

  1. BCP DRP 비교
구분 BCP DRP
목적 -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 BCP 심각한 중단 상황에서 복구가 진행되는 동안에 필수적인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절차를 제공
- Disaster Recovery Planning
- 정보시스템 인프라와 사업 운영에 필수적인 정보자산의 복구를 촉진하기 위한 상세한 절차를 제공
범위 -실제의 업무 프로세스와 업무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IT 영역에 집중 - IT 중심적이고 장기간 효과를 지속하는 중대한 중단에 국한
- IT서비스의 우선순위 선정이 중요
실행주체 -Business Unit 중심으로 수행 - 업무 부서와는 별도로 정보 시스템 부서를 중심으로 수행
대상 -업무는 물론 사람, 물리적 사무공간, 중요 문서 등을 포함하여 사전에 준비하기 어려운 수많은 항목이 대상 - 명확하게 범위를 설정
- 정보시스템 운영팀을 중심으로 운영시설을 사업단위 중심으로 수행
- 최소한의 Data Backup에서부터 실시간 데이터 저장 운영 Server, Storage, Network device, DWWM까지 대상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롭테크  (0) 2024.01.16
신경망분석  (0) 2024.01.15
BIA  (1) 2024.01.13
Data Mining  (1) 2024.01.12
공유경제(sharing economy)  (2) 2024.01.11
BIA
(Business Impact Analysis)
[정의] 기업의 각 비즈니스 업무에 대하여 긴급 재난사태 , 비상상황 발생시의 영향도를 평가하고 복구우선순위 및 복구 목표를 정의하는 분석활동
[목적] 핵심 우선순위 결정(영향도가 가장 큰 업무), 중단시간 산정(최대 허용 가능한 Downtime을 산정), 요구자원 산정(업무별 자원 요구사항을 파악)
[절차] 대상업무선정 > 손실 정도 산정 > 복구우선순위도출 > 복구필요자원분석
[분석 방법]
1. 분석 관점
- 재무적 영향도 측면, 법/제도적 측면, 기업 운영 측면
- 브랜드. 시장/고객 평판 측면, 전략/마케팅 측면
2. 관점 별 수준 평가 - 각 5개 수준으로 평가
3. 최종 등급 판정 - 최종 4개 등급(광범위, 중요, 일반, 부분)으로 평가

*등급판정: 부분/국지적, 일반/제한, 중요/대형, 광범위/전파

핵중요
대손복필
토픽 이름 BIA(Business Impact Analysis)
분류 IT 경영전략 > BCP/BCM > BIA
키워드(암기) 핵심 우선순위 결정 (Critical Prioritization) 정량적/정석적 분석

중단시간산정 (Downtime Estimate) 재무적/비재무적 지표

자원요구 (Resource Requirements) 복구우선순위

관점별수준 (미미, 사소, 보통, 중요, 극심) RTO (Recovery Time Objectives)

최종등급 (광범위/전파, 중요/대형, 일반/제한, 부분/국지적) RPO (Recovery Position Objectives)

BCP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14. BIA(Business Impact Analysis) 대하여 설명하시오. 합숙_2018.01_Day-2
2 2. A기업은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해 BIA(Business Impact Analysis) 수행하고자 한다. BIA 수행절차를 설명하고, [RTO(Recovery Time Objective) 0] 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합숙_2016.07_Day-4
3 3. BIA(Business Impact Analysis) 설명하시오. 합숙_2015.01_Day-4
4 AWS 장애, 삼성전자 평택사업장의 정전, 코로나 바이러스 등으로 디지털 블랙아웃과 비즈니스 중단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 기업은 사업연속성을 유지하기위해 BCP 수행하고 DRS 적정성에 대해 재검토 하고 있다.
 . BCP 수행하기 위한 절차
 . BCP 주요요소, BIA 수행하는 절차
 . BCP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량/정상지표
모의_2020.03.관리.4
5 5. 기업 연속성을 위한 BCP 프레임워크, BIA 절차 BIA 핵심도출사항을 설명하고, 비즈니스 중단시 영향 추산을 위한 활동 중 MBCO, MTPD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7.06_2
6 2. 최근 많이 발생되고 있는 각종 재해, 재난으로 인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할 있는 체계인 BCP 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효율적인 BCP 구축 절차와 업무영향도분석(Business Impact Analysis) 대하여 설명하시고, BIA 핵심 지표인 RTO(Recovery Time Objective) RPO(Recovery Point Objective) 설명하시오. 모의_2016.11_4
7 5. 업무연속성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수립을 검토하고 있다.
. 주요계획(재해예방, 대응 복구, 유지보수, 모의훈련) 대하여 설명하시오.
. BIA(Business Impact Analysis)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6.10_4
8 9.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에서 BIA(Business Impact Analysis)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모의_2015.07_1
9 업무연속성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수립을 검토하고 있다.
. 주요계획(재해예방, 대응 복구, 유지보수, 모의훈련) 대하여 설명하시오.
. BIA(Business Impact Analysis)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5.06_4

 

I. 기업 비즈니스 연속성 보장을 위한 사업영향평가, BIA 개요

 . BIA(Business Impact Analysis) 정의

- 재해 발생 영향을 미칠 있는 단위업무를 정의하고, 업무중단 영향에 대한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통해 복구 우선순위 복구목표도출하는 과정

  - 비즈니스 중단 시 기업에 비치는 재무적, 비재무적 손실 영향을 평가하는 BCP의 핵심절차

 . BIA의 목적

구분 설명
핵심 우선순위 결정
(Critical Periodization)
영향도가 가장 큰 업무를 우선 복구하여 피해 최소화
중단시간 산정
(Downtime Estimate)
최대 허용 가능한 Downtime 산정하여 서비스 연속성 보장
요구자원 산정
(Resource Requirements)
업무별 자원 요구사항을 파악, 원활한 재해복구 지원

 

II. BIA 수행 프로세스 분석방법

 . BIA 수행 프로세스

 

  - 재무적, 비재무적 지표에 따른 손실 산출 복구 순위 도출

 

 . BIA 관점별 분석방법

1. 분석 관점 2. 관점별 수준 3. 최종 등급 판정
– 재무적 영향도
– 법/제도 측면
– 기업운영 측면
– 시장/고객 평판
– 전략/마케팅
 미미함
 사소함
 보통
 중요함
 극심함
 부분/국지적
 일반/제한
 중요/대형
 광범위/전파

 

 . BIA 통한 주요 도출 지표

지표 설명 사례
RTO 업무 재개 위한 필요 시간 2시간, 7, 1개월
RPO 핵심 업무 복구 수준(백업) 특정 백업 시점
RSO 네트워크 복구 수준 계정계정보계대외계
RCO 복구 대상 핵심 업무 주요 영업점 영업점
BCO 백업 센터 구축 목표 DR센터 시스템 구축

     BCO(Backup Center Objective)

 

 . BIA 결과 기반 복구목표 산정 DR 센터 구성방안

최종 등급 RTO / RPO DR센터 대상 사례
 부분/국지적 8H / 10D Cold 검증계테스트
 일반/제한 6H / 7D Warm 백업파일 서버
 중요/대형 2H / 12H Hot 정보계경영정보
 광범위/전파 0H / 4H Mirror 계정계온라인금융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망분석  (0) 2024.01.15
DRP  (0) 2024.01.14
Data Mining  (1) 2024.01.12
공유경제(sharing economy)  (2) 2024.01.11
섭테크  (0) 2024.0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