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크포인트(Checkpoint) 회복기법 | [정의] 체크포인트를기록후장애발생시체크포인트이후의로그로만복구하는회복기법 - 키워드 : check point, redo, undo |
체리언 |
토픽이름 | 체크포인트 회복기법 |
분류 | DB>데이터 회복 >체크포인트 회복 기법 |
키워드(암기) | - 검사점(체크포인트)기점으로 회복할 작업 구분. 검사점 이전의 로그는 회복안함 운영 효율성 증대 / 검사점 시점 정의에 따르는 트랜잭션 복구 노력 비용 증가 |
암기법(해당경우) |
기출문제
번호 | 문제 | 회차 |
1 | 8. 데이터베이스의 체크포인트(Checkpoint) 회복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105.관리.1 |
2 | 1. 데이터베이스의 회복기법(Recovery)에 대하여 다음 내용을 설명하시오. 1) Redo와 Undo 2) 로그기반 회복기법 3) 체크포인트 회복기법 4) 그림자페이지 회복기법 |
104.컴시응.4 |
3 | 5. 데이터베이스의 회복 기법(Recovery)에 대하여 다음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REDO 와 UNDO 나. 로그기반 회복기법 다. 체크포인트 회복기법 |
모의_2019.10.응용.3 |
4 | 4. 데이터베이스 회복기법의 주요 요소인 UNDO/REDO를 설명하고, 로그기반 회복기법과 체크포인트 회복기법을 설명하시오 | 모의_2018.10.응용.4 |
5 | 5. 데이터베이스의 회복 기법(Recovery)에 대하여 다음 내용을 설명하시오 1)REDO와 UNDO 2)로그기반 회복기법 3)체크포인트 회복기법 4)그림자페이지 회복기법 5)미디어기반 회복기법 |
모의_2017.11.관리.2 |
I. 검사점을 이용한 데이터 회복 기법, 체크포인트 회복기법의 개요
가. 체크포인트(Checkpoint) 회복 기법의 정의
- 로그 파일에 체크 포인트를 기록하고 장애 발생 시,검사점(Checkpoint) 이후의 트랜잭션에 대해서만 회복 작업을 수행하는 회복 기법
나. 체크포인트회복기법의 특징
구분 | 특징 | 설명 |
검사점 | 주기적 생성 | 변경 내용에 대해 일정 기간 단위로 체크 포인트 생성 |
회복 효율성 | 간결한 검사 | 회복 시 로그 파일의 정보를 모두 체크할 필요 없음 |
II. 체크포인트회복기법의 설명
구분 | 설명 |
개념도 | - 장애 발생으로부터 마지막 검사점 이후의 트랜잭션을 REDO/UNDO |
갱신 | - 트랜잭션 수행 중, 검사점(Checkpoint) 기반으로 로그 기록 수행 |
회복 | - 트랜잭션 수행 도중 장애 발생시, 로그 정보를 모두 검사하여 REDO와 UNDO 연산을 실행할 트랜잭션과 체크포인트 선정 - 검사점의 로그 기록을 기반 REDO/UNDO 수행 - 검사점 이전 시작된 트랜잭션은 REDO, 검사점 이후 - 새로 시작한 트랜잭션은 UNDO 리스트 |
장점 | - 검사점에서만 로그 기록으로 운영 효율성 증대 |
단점 | - 검사점 시점 정의에 따르는 트랜잭션 복구 노력 비용 증가 |
II. 검사점 기점 REDO/UNDO 선정 기준
구분 | 설명 |
UNDO | - 검사 시점 설정 당시 활동중인 트랜잭션은 전부 UNDO 리스트 삽입 |
REDO | - 검사점 시점으로부터 로그를 탐색 - <Ti commit>(수행종료)트랜잭션은 REDO로 추가 - <Ti start>(수행시작)트랜잭션은 UNDO로 유지 |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DB_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PL or 2PLP(2 Phase Locking) (0) | 2023.08.04 |
---|---|
동시성 제어 (0) | 2023.08.03 |
ARIES (Algorithms for Recovery and Isolation Exploiting Semantics) (0) | 2023.08.02 |
그림자페이지(Shadow Paging) 기법 (0) | 2023.08.01 |
로그기반 회복 기법 (0) | 202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