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Cloud
배치 분류별 3가지
[Public Cloud]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Private Cloud] 기업내의 내부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Hybrid Cloud] 사설 클라우드에서 공공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방식.
 
토픽 이름() Public Cloud 서비스 분류
분류 SV > Cloud Computing> Public Cloud 서비스 분류
키워드(암기) XaaS 기반, IT 자원 Host(HW, SW, NW), On Demand(원하는 즉시), Virtualization(HW, Storage, NW), CSB(Cloud Service Broker), Open Stack, 참여, 공유, 개방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5.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 모델별, 배치 모델별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4_관리_4
2 1. 사설(Private)클라우드, 공용(Public)클라우드, 하이브리드(Hybrid) 클라우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5_컴시응_3
3 1.클라우드 컴퓨팅에서 Private Cloud Public Cloud 비교 설명하시오 95_조직응용_2
4 국내에서 클라우드 환경은 글로벌 선진국과는 다르게 적용 분야가 제한되어 있었으며, Public 클라우드까지 확산되지 못했던 현실이다. 그러나, 최근에 클라우드 관련 다양한 Biz. Model 발굴되면서 많은 서비스가 태동하고 있고 어느정도 안정화되고 있는 단계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보안문제는 풀어야할 숙제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 취약성을 SaaS, PaaS, IaaS 관점에서 제시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의 정보보호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합숙_2014.01_공통_2일차
5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모델들이 서비스 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기술
. 퍼블릭 클라우드(Pubilc Cloud)의 한계점
.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적용 전략
합숙_2012.02_공통_4일차
6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모델들이 서비스 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운용 모델에 따라 퍼블릭 클라우드(Pubilc Cloud)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서비스로 크게 구분하는데 퍼블릭 클라우드(Pubilc Cloud)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고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적용 전략을 제시하시오. 합숙_2012.02_공통_8일차
7 3. 스마트홈을 구축하기 위한 주요기술을 설명하고, public cloud 통해 스마트홈 서비스 제공시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8.06_응용_3

 

I. Public Cloud 개요

 . Public Cloud 정의

- 누구나 인터넷/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결제만으로 서비스 접근 가능하고 사용한 만큼 지불(Pay-per-use)하는 구조 갖는 공중 인프라

- Cloud Service ProviderCloud 자원 소유/관리하며 일반사용자에게 공개되어 대규모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External Cloud라고도 )

- 초기 투자비용 없어 경제적이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의존도가 큼

- 기업들의 데이터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데스크탑/노트북, 스마트폰 등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운영체제와 시공간의 제약없이 언제든 열어볼 수 있는 서비스 형태

 

. Public Cloud 특징

특징 설명
일반화된 서비스 외부기업이 제공하는 일반화된 서비스 사용 (중소기업에서 이용)
서비스로 제공 인터넷 접속 가능 시 언제/어디서나 접속
구성 용이 데이터 센터 불필요, 쉽고 저렴하게 구성
Low cost (비용 절감) 사용량만큼 요금 지불 (유틸리티 컴퓨팅 형태) à 초기 투자 비용 불필요
No maintenance CSPCloud 자원 운영 관리
Near unlimited scalability 추가 HW, SW 구매 필요 없이 필요할 쉽게 확장 가능
High reliability 전문 업체가 관리하므로 서비스 신뢰성 높음

 

II. Cloud Computing 분류 및 비교

 . 서비스 대상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의 분류

구분 분류 내용
서비스 대상/구축유형 Public Cloud - 외부 전문업체의 공용 데이터 센터 기반으로, 불특정 다수 일반 사용자 대상 서비스

Private Cloud - 특정 기업이 독점적으로 있는 데이터 센터 기반으로 기업의 내부 사용자 대상 제공 서비스

Hybrid Cloud - 사설 클라우드에서 공공 클라우드 활용하는 방식.

 

. 서비스 대상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의 비교.

구분 Public Cloud (External Cloud) Private Cloud (Internal Cloud)
개념 불특정 다수 대상 인터넷 기반으로 운영되는 클라우드 - 특정 조직을 위해 운영되는 클라우드
(한정된 사용자 대상)
- 클라우드 개념을 자사의 데이터센터에 적용
운영형태 - - 서비스 제공업체가(CSP)Cloud 자원 소유/관리/운영
- 서로 다른 고객들의 작업이나 데이터가 클라우드 내 인프라상에서 섞여 처리
- 가상화된 인프라를 기업에서 직접 소유 (기업이 이미 보유한 HW 장비, 데이터 센터 활용)
- 고객이 인프라 소유하는 동시에 사용자들의 인프라 이용 권한 결정
- 위탁 운영 및 아웃소싱
투자 위험 - Cloud 서비스 공급자가 부담 - 기업이 부담
장 점 - 활용도 증가
- 최소의 투자로 최대의 효과
- IT 유지비용 없고, 사용료만 지불 (Pay per use)
- IT 서비스 안정성 최대
- 서비스 적기 제공
- 고수준 탄력성 (High Scalability)
- SaaS 활용 용이
-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선택/실행 권한 고객 소유 à 서비스 구성 자유롭고, 자사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서비스 구현 가능
- - ERM, PLM 기업 핵심 어플리케이션 적용 용이
- - 데이터 보호 향상, 높은 보안성
- - 네트워크 대역폭 제약 없음
- - 인터넷 접속 제약 없음
- - 서비스 수준관리 기능(SLA)
단 점 - 고객사의 통제 권한 부족
- 매월 이용료 납부의 번거로움
- 지원비용(Support Cost) 증가
- 전문적 서비스 제공 어려움
-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만 이용 가능
- - 장비, HW, 가상화기술 비용
- - 높은 초기 투자비용() 데이터센터 구축 비용)으로 인해 퍼블릭 서비스 대비 비용효과 상대적 낮음
- - 높은 인력 비용
- - 낮은 탄력성
솔루션
기업
- Amazon EC, Google Apps, Twitter, Digg, Salesforce.com I - IBM, HP, VMWare, EMC
대 상 일반인, 중소기업  대기업

 

II. Public Cloud 서비스 모델 유형 및 사례

 . Public Cloud 서비스 모델 유형

구 분 설 명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네트워크와 서버 물리적 장비들이 서비스로서 인프라 구축
PaaS - Platform as a Service
- IaaS 기반으로 각종 가상화 솔루션 등의 유연한 적용 위해 서비스로의 개발 플랫폼 형성
SaaS - Software as a Service
- 직원이나 개인들이 활용 가능한 이메일, 편집S/W, 자원관리 서비스로의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이용자에게 제공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례

기업명 내용 서비스
Amazon - 스토리지 서비스 -S3 (Simple Storage Service)

- 호스팅, 컴퓨팅 지원 -EC2 (Elastic Computing Cloud)

- Queue 서비스
- MS, 분산 시스템 Serverless Application 쉽게 분리, 확장 가능하도록 메시지 대기열 서비스
-SQS (Simple Queue Service)

-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SimpleDB
Google - 응용 플랫폼 서비스 -AppEngine (PaaS)

- 구글 캘린더, 구글 Docs -구글앱스 (SaaS)
SalesForce - 고객관리 서비스 -CRM (SaaS)

- 영업자동화 -SFA (Sales Force Automation)

- 파트너 관계 관리 -PRM
Microsoft - 응용 플랫폼 서비스 - Azure Service Platform (PaaS)

- 통합 서비스 지원 - IaaS, SaaS 지원
KT - 스토리지 서비스 (웹하드) - uCloud
Naver - 스토리지 서비스 (웹하드) - N 드라이브

 

III. Public Cloud 장점 한계점

구분 특징 내 용
장점 Faster Time-to-Market 인프라 구매/설치 시간 단축, 시장에 신속 대응

On-Demand Elastic Infrastructure 요구사항에 따라 탄력적 IT 자원 제공

Pay-per-Use 초기 투자비용 없이 사용한 만큼 지불 à 비용절감

비용 절감 사용량 기반 비용 청구

데이터 접근성 향상 PC, 모바일 기기 다양한 단말에서 접근 가능

유연성 - 자동화 기반한 시스템 확장으로 필요 자원 추가, 확장 용이
- 유연한 스토리지 운영 정책
한계점 스마트워크의 기초 정보 접근성을 기반

Security 공용 인프라 사용에 따른 자사 데이터 보안성 확보 필요

Multi-Tenancy 동일한 물리적 인프라에 다양한 고객의 데이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수용

신뢰성과 성능 IT 대한 통제권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고가용성 요구하거나 mission critical 업무에 대해 적용하기는 한계가 있음

벤더 종속적 기술환경 클라우드 기술이 벤더별로 다르고, 기술적 표준화 미비한 상태

기존 유휴 투자 장비 기존 보유 인프라를 두고 클라우드 컴퓨팅에 재투자

거버넌스와 감사 대응 IT 자원, 운영과 통제를 외부에 의존하기 때문에 해결해야 문제점들이 존재

기술 성숙도 충분하지 못한 기술 성숙도

 

IV. Cloud Computing 고려사항 및 보안이슈

구분 이슈 설명
고려사항 높은 관리 능력 요구 방대한 서비스 제공 위해 고수준 관리 능력 필요

고속, 상시 접속 요구(network infrastructure) - 안정적 서비스 제공 가능한 고속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 상시 접속, 이용 위한 환경 제공

보안 문제 모든 작업이 온라인 상 수행되므로 그에 따른 보안 위협 증가
환경적
보안 이슈
서비스 중단 기업 이용자의 경우 서비스 안정성 필수

정보 유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이 클라우드 인프라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데이터 통제권 상실, 서버는 해커의 새로운 공격 대상이 있음

규제 준수 개인정보 보호법, 데이터 보호 감사 규정

E-discovery 대응 국외 센터의 경우 외국정부 정보제공 여부, 재판관할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