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 프로세스 마이닝 (Process Mining) |
[정의] 다양한 정보시스템(ERP, BPM, SCM등)에 저장된 정보시스템 로그를 분석하여 업무수행 결과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 및 지식을 추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 및 방법론 [목적]프로세스 셕별, 가시화, 개선 [구성요소](프성정현) 1. 프로세스 모델링 - TQM, BPR, PI, SCM, CRM, BSC, BPM - 조직 전략과 개인(또는 정보시스템) 사이의 간격을 메워주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문서화와 개선, 관리가 조직 성과 달성기술. 2. 조직성과 도출 - 프로세스 성과측정, 프로세스 모델 도출, 조직 모델 도출 3. 정보시스템 로그 - 정보시스템 로그, 조직 및 인력, 자동화도구 4. 현실세계 - 프로세스 향상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활용 - 활동들과 사건들, 상태들, 통제 흐름 논리들을 그래프로 표현 [기법] (발순확) 1. 발견: 기존의 프로세스부터 정보르르 추출해 새 프로세스 찾아내는 기법 2. 순응도 검사 :이벤트로그 프로세스 모델간 일치 정보 분석 3. 확장 :원래 프로세스 개선/확장 시켜 서비스 적합성 상승 시키고, 발견된 프로세스 모델 확정 BPM,PI적용 |
BPM 3단락. 프로세스 마이닝 활용방안 bpm/bpr 사업진단,평가 |
프성전현 발순확 |
토픽 이름(중) | Process Mining |
분류 | MG > Mining > Process Mining |
키워드(암기) | 프로세스 마이닝 기술, 발견(Discovery), 순응도(적합도) 검사(Conformance Checking), 향상(Enhancement) 또는 확장(Extension) |
암기법(해당경우) |
기출문제
번호 | 문제 | 회차 |
1 | 1. 프로세스 마이닝의 개념과 필요성, 기술요소와 연구분야, 적용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118.관리.2교시 |
2 | 프로세스 마이닝(Process Min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96.정보관리1.11 |
3 | 최근 빅데이터 기반의 기업 비즈니스 활성화 전략에 따라 프로세스 마이닝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프로세스 마이닝의 개념과 주요 기술에 대해 설명하시오 | (모의)2014.05.관리.3교시 |
I. 기업 경영관리의 필수요소, 프로세스 마이닝의 개념
가. 프로세스 마이닝 (Process Mining)의 정의
-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는 혁신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로부터 업무 수행과 관련된 여러가지 정보를 분석
- 다양한 정보시스템(ERP, BPM, SCM등)에 저장된 정보시스템 로그를 분석하여 업무수행 결과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 및 지식을 추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 및 방법론
나. 프로세스 마이닝의 목적

프로세스 식별 | 실제 상황을 반영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발견, 업무 흐름 확인 |
프로세스 가시화 | 직관적 판단을 위한 프로세스와 성과를 다양한 형태로 표현 |
프로세스 개선 | 성과 지표를 반영하여 프로세스와 조직의 성과관리 및 개선 방향 도출 |
II. 프로세스 마이닝 구조도 및 구성요소
가. 프로세스 마이닝 구조도

- 프로세스 마이닝은 인터뷰 없이, 데이터로부터 현재 수행이 되고 있는 업무 수행 모델에 가장 가까운 모델을 도출할 수 있고,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정확하게 반영
나. 프로세스 마이닝 구성요소
구성요소 | 설명 |
프로세스 모델링 | - TQM, BPR, PI, SCM, CRM, BSC, BPM - 조직 전략과 개인(또는 정보시스템) 사이의 간격을 메워주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문서화와 개선, 관리가 조직 성과 달성기술. |
조직성과 도출 | - 프로세스 성과측정, 프로세스 모델 도출, 조직 모델 도출 |
정보시스템 로그 | - 정보시스템 로그, 조직 및 인력, 자동화도구 |
현실세계 | - 프로세스 향상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활용 - 활동들과 사건들, 상태들, 통제 흐름 논리들을 그래프로 표현 |
III.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 개념도 및 상세설명
가.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 개념도

나.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 상세설명

IV. 프로세스 마이닝 활용 방안

- 선정된 핵심 프로세스들에 대해서 프로세스 마이닝을 통해서 자동화된 방식으로 프로세스 모델을 도출하면 아래와 같이 [진단]과 [평가] 단계 수행의 효율과 정확성을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
V. Process Mining,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RPA(Robot Process Automation)의 비교
Process Mining | BPM | RPA | |
개념 | 이미 수행된 업무로부터 이벤트로그를 수집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도출 | 프로세스를 모델링, 분석, 측정, 개선, 최적화 및 자동화 |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
목표 |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 |
프로세스를 운영관리하여 기업 성과를 향상 | 사람이 하던 현재 방식을 그대로 모방하여 자동화 대체 |
특징 | Bottom-up 방식 | Top-Down 방식 | 기계 간(M2M) 통신 |
관련성 | 1. 시스템을 통합관리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 로그를 통한 프로세스 관리(프로세스마이닝)로 BPM보완 2. RPA 도입 전 전체 프로세스를 분석(프로세스마이닝)하여 도입 구간ㆍ타당성 검증하고 업무효율성 측정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