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코어 프로세서
(many core CPU(Central Processing Unit))
[정의] CPU에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코어를 집적하여 극한의 병렬화 된 프로그램 실행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세서
[기술요소]
프로세싱 ( 병렬 컴퓨팅, 캐시 일관성, 하드웨어 추상화 )
메모리 ( Messaing Passing, Scratchpad memory, 메모리 주소 분할 )
123회 컴시응 1교시 기출
토픽 이름 () 매니코어 프로세서(many core CPU(Central Processing Unit))
분류 CA > 컴퓨터 구조 > 매니코어 프로세서
키워드(암기) NUCA, NoC, Nano 집적기술, 3D die Stacking, DVFS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5. 매니코어 프로세서(many core CPU(Central Processing Unit)) 123.컴시응.1

 

I. 극한의 병렬 처리 프로세서, 매니코어 프로세스(Many core CPU) 개요

정의 CPU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코어를 집적하여 극한의 병렬화 된 프로그램 실행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세서
특징 - 병렬처리, 다수 코어 집적, 캐시 일관성, 메모리 분할

- 병렬처리에 최적화 되어 있어 병렬 프로그램 이외엔 성능이 하락

 

II. 매니코어 프로세서의 개념도 기술요소 설명

. 매니코어 프로세서의 개념도

- 다수의 Core를 하나의 CPU 집적해 병렬처리를 극대화

 

. 매니코어 프로세서의 기술요소

구분 핵심 기술 설명
하드웨어
측면
NUCA(Non-Uniform Cache Architecture) - 코어블록과 지리적 근접 L2 Cache Bank 접근하도록 하여 Bandwidth 향상

3D die Stacking - SOC die 내부의 여러 지점에 Memory die 연결되는 via 제공하여 대여폭을 향상시키고 훨씬 많은 수의 연결을 지원

NoC(Network on Chip) - 프로세스 인터커넥션을 위한 라우터를 통한 고속의 네트워크를 구현

DVFS(Dynamic Voltage Frequency Scaling) - 프로세서의 전력 효율을 향상, 처리량 대비 가변적 전압과 주파수 적용
- 처리량이 많을 시는 전압과 주파수를 높이고, 처리량이 적을 시는 전압과 주파수를 낮추어 에너지 효율성 향상

Internal Memory Controller - 프로세서 내부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하여 매니코어의 메모리 접근성을 향상

Nano 집적 기술 - 단일 프로세서 칩에 집적하기 위한 50nm 이하의 소자를 집적하는 기술, 현재 10nm 이하 소자 집적으로 기술 발전중
소프트웨어
측면
Massage Passing - 병렬 처리에서 정보 교환 시에 필요한 기본 기능들과 문법, 프로그래밍 API에 대한 표준 기술

Transaction Memory - 병렬 컴퓨팅에서 공유 메모리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동시성 제어 기법

SPMT(Serial Port Memory Technology) - 수행 확률이 높은 부분을 다른 core 통해 미리 수행하여 전체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

Token Based Coherence Protocol - cache coherence 위한 토큰 기반의 프로토콜

SW 지원 플랫폼 - OpenMP, OpenCL, CUDA 병렬 프로그램 지원 플랫폼

- 병렬 컴퓨팅에 최적화 다수의 코어를 사용해 연산처리에 매니코어 프로세서 활용 가능

 

III. 매니코어 프로세서와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비교

비교 매니코어 프로세서 멀티코어 프로세서
개념 - CPU 다수의 코어를 집적 - 다이에 다수의 CPU 집적
코어 - 동일한 코어 집적 - 다양한 기능의 코어를 집적
예시 - Intel Core i5 - Intel Xeon

“끝”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CA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합연관사상  (1) 2023.11.12
연관사상(Associative Mapping)  (0) 2023.11.11
직접사상(Direct Mapping)  (0) 2023.11.10
Cache 일관성 유지방법  (0) 2023.11.09
GPGPU - CUDA  (0) 2023.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