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 | 경험기반 기법 | [정의] 테스터의 지식이나 경험, 직관, 기술능력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 [기법] 탐색적 테스팅, 오류추정, 체크리스트, 분류트리 * 리스크 기반 테스팅 |
경참오체분 |
토픽 이름 (중) | 경험기반 기법 (Experience-based Technique) |
분류 | 테스트기법 > 경험기반기법 |
키워드(암기) | 탐색적 테스팅, 오류추정(Error guessing), 체크리스트(Checklist), 분류트리 |
암기법(해당경우) | 경(험기반기법)-탐(색)오(류추정)체(크리스트)분(류트리) |
기출문제
번호 | 문제 | 회차 |
1 | 4. 아래 SW 테스트 기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가. 블랙박스, 화이트박스 나. 명세기반, 구조기반, 경험기반 |
모의_2019.03.관리.2 |
2 | 1. 테스트 설계 기법 중 명세기반 기법(Specification-based Technique)과 경험기반 기법(Experience-based Techniqu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모의_2017.06.응용.4 |
3 | 탐색적 테스트에 대해서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탐색적 테스트 특징과 절차 나. 테스트 차터 다. 탐색적 테스트와 경험기반 테스트의 비교 |
모의_2015.12.관리.2 |
Ⅰ. 테스터의 지적 능력을 극대화 및 Agile 방법론 대응을 위한 경험기반 테스팅의 개요
구분 | 설명 |
개념 | 이전에 테스터가 다루었던 유사 어플리케이션이나 기술에서의 경험, 직관, 테스터의 기술 능력으로부터 테스트 케이스를 추출하는 기법 |
특징 | - 테스트 관련 인력의 지식이나 경험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 - 테스터, 개발자, 사용자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식 - 소프트웨어에서 자주 발생하는 결함이나 결함의 분포와 관련있는 지식 |
- 테스터의 과거 유사 시스템 개발 및 기술 경험을 기반으로 직감적으로 테스트하는 기법
Ⅱ. 경험기반 테스팅의 주요 기법
유형 | 설명 | 고려사항 |
탐색적 테스팅 (Exploratory Testing) |
- 테스트 목표를 포함하는 테스트 차터(Charter)를 기반으 로 정해진 시간내에 테스트 설계, 수행, 기록과 학습하는 테스팅 기법 |
- 명세가 거의 없고 시간이 부족한 경우 - Formal 기법을 보충할 경우 |
오류추정 (Error guessing) |
- Ad-hoc Testing이라고도 불리며, 어떤 특정한 형태의 결 함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이 결함을 발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기법 - 테스터는 직관과 결험에 기반하여 결함을 예측 - 테스터가 시스템에 대한 완전히 이해한다는 전제로 적용 되는 기법 |
- 테스트의 마지막 단계에 사 용 |
체크리스트 (Checklists) |
- 테스트하고 평가해야 할 내용과 결험을 분류하여 나열해 놓은 목록 - 체계적으로 도출되기 보다는 테스트 결험과 노하우를 정 리하고 목록화하여 다음 테스팅에서 해당 내용을 누락없이 재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 |
- 공식적인 테스팅을ㅇ 보완 하는 용도로 활용 |
- 경험기반 테스팅 기법 중 대표적으로 탐색적 테스팅 기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
[참고] 리스트 기반 테스팅
I. 효과적인 경험기반 테스팅 수행 전략
가. 리스크 기반 전략과 연계한 경험기반 테스팅 수행
- 경험기반 테스팅은 테스트 대상에 비해서 테스트 자원이 부족한 경우, 우선순위를 나눠서 테스트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테스트 전략이 필요 시 많이 활용되며, 리스크 기반 전략과 연계해 테스팅을 수행
![]() |
- STA(Severs Test Area): 반드시 테스트 - STTA(Strong Test Area): 테스트 - ITA(Intensive Test Area): 테스트 - FTA(Fundamental Test Area): 테스트하지 않을 수 있음 |
- 장애발생가능성, 장애로 인한 영향도를 판단하여 해당 영역별로 테스팅 수행 전략 마련
나. 리스크 기반과 연계한 경험기반 테스팅 수행 전략
전략 | 설명 | 수행자 |
FTA 수행전략 | - 개발자의 자유로운 테스팅 수행 - 개발자 경험에 의존한 소스코드 디버깅 및 결함 발견 |
- 개발자 |
ITA 수행전략 | - 주로 경계 값에 대한 경험기반으로 테스팅을 진행 - 개발 경험을 보유한 테스터가 수행 |
- 개발자, 테스터 |
STTA 수행전략 | - 전문적인 테스팅을 수행하여야 하며, 전문 테스터에 의해 수행 | - 테스터 |
STA 수행전략 | - 전문적인 테스팅 경험과 함께 도메인 전문가, 업무 전문가, 응용 프로그램 전문가가 경험 기반으로 테스팅 | - 테스터, 업무, 도메인, 응용프로그램 전문가 |
- 해당 분야의 경험이 많고, 도메인 지식이 높으며,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을 시 효과적
[참고] 탐색적 테스팅과 경험기반 테스팅의 비교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소프트웨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능 테스트 (2) | 2024.04.10 |
---|---|
Embedded System Test (1) | 2024.04.09 |
구조기반테스트 (0) | 2024.04.07 |
Usecase diagram (0) | 2024.04.06 |
Class diagram (0) | 2024.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