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연결 데이터(Linked Open Data)
LOD
[정의]사용자가정확하게원하는정보를찾을수있도록웹상의모든데이터와데이터베이스를공개하고연결하는데이터
---------------------------------------------------------------------------------
웹상에존재하는데이터를개별 URI로식별하고각 URI에링크정보를부여함으로써상호연결되웹을지향하는모델
(발행절차: LOD로웹상에데이터개방, LOD열람및검색, 타LOD연결RDF, LOD공개데이터레파지토리에등록)
122회 기출
100.토픽 이름() 개방형 연결 데이터 (Linked Open Data)
분류 DB > 기타
키워드(암기) 생성/관리/발행/협업, URI, HTTP, RDF, Link, SPARQL, Ontology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 제 회 차
1 LOD(Linked Open Data) 122.관리.1
2 5.빅데이터분석 기술 오픈데이터 플랫폼을 구성하기 위한 LOD(Linked Open Data) 기술요소를 설명하시오 119.관리.4
3 12. LOD(Linked Open Data) 공공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합숙_2019.01
관리. Day-5
4 3.LOD(Linked Open Data) 대하여 다음 내용을 설명하시오.
1)LOD 개념
2)문서 (web) LOD에 의한 데이터 웹의 차이점
3)LOD 기술 요소
110.응용.3
5 12. LOD(Linked Open Data)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7.07.응용.1

I. 공공데이터의 개방형 플랫폼, 개방형 연결 데이터의 개요

. 개방형 연결 데이터 (Linked Open Data) 정의

- 사용자가 정확하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웹상의 모든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를 공개하고 연결하는 데이터

1)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개별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식별하고, URI 링크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웹을 지향하는 모형

2) 버너스리에 의해 2006 제안되었으며, 이는 시맨틱 기술의 일부를 활용하여 웹을 보다 유용하게 만들기 위해

 구조화된 데이터를 웹에서 유통할 있는 방법

3) LOD는 ‘사람만 이해하는 웹’에서 ‘기계가 이해하는(의미처리) 웹’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법으로, 데이터를 누구나 이용할

있는 형식으로 개방해 링크시켜 나가는 구조

 

. LOD(Linked Open Data) 4가지 원칙   

구 분   
URI 사용 Linked Data 웹문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중심의 식별체계를 지양하며, 개별 문서에 존재하는 개별 객체에 각각 URI 부여
HTTP URI 사용 Linked Data URI 중에서도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접근할 있는 URI 제안하고 있다. 이는 링크드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하려는 목적
RDF 사용 Linked Data RDF 같이 트리플 모형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사용해야 함. 웹의 데이터를 정형화된 구조로 나타내고, 연계하기 위함
링크정보의
부여
3가지 원칙을 지켰다고 해도, Linked Data에서는 보다 발전된 시맨틱 웹을 위해 링크정보를 부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

 

II. LOD 구축절차

구 분  
Linked Data 생성단계 Linked Data 위한 모델 지식 베이스 생성
Linked Data 관리단계 대용량 Linked Data 저장, 관리, 질의처리,추론지원
Linked Data 발행단계 서비스에 따라 SPARQL Endpoint 접점을 생성하고 Linked Data 발행
Linked Data 협업단계 Linked Data 통한 협업 설계

III. LOD 구성도 구성요소

 . 구성도

. 구성요소

구 분   
URI  
IRI - International Resource Identifier with UNICODE
XML - 언어를 표현하는 언어 역할인 메타언어(meta-language) 기능
- XML 임의의 문서구조를 지정할 있는 반면에 문서구조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정의하지 않으며 따라서 표현한 문서의 의미를 해석하는 역할은 하지 않음
Namespace - XML 문서에서 요소(element) 속성(attribute) 이름으로 쓰일 수 있는 이름 들의 집합
- XML 사용할 상이한 의미를 가지는 동일한 용어간의 불확실성을 해결
RDF  
RDFS - RDF Schema 정보로 경량의 온톨로지를 표현
- 의미를 기술하는 RDF 형식 언어
R2RML - RDB(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RDF 바꿔주는 랭귀지
Ontology - RDF Schema “분류”와 “논리적인 추론”을 부과하여 기계가 web 의미를 해석하는 semantic web을 완성
- 종류 : DAML+OIL, SHOE, OWL (Web ontology language)
OWL - DAML+OIL에서 파생된 web ontology 언어
- 속성과 클래스를 기술할 다양한 의미 표현 어휘를 제공 : 클래스 관계, 관계차수, 동치성, 풍부한 속성타입, 속성 특징, 열거형 클래스
- 3개의 하위 언어를 구성 (OWL Lite, OWL DL, OWL Full)
Logic - 기존에 정의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결론을 도출하는 추론 기능 등을 의미
- 추론을 위한 로직
SPARQL - 온톨로지 질의 언어
- 그래프 구조로 되어 있는 RDF에서 정보를 취하기 위한 언어
- Query 있는 아니라 결과에 따른 새로운 RDF 구성할 있는 장점
- RDF 구조에서 모든 하위 구조를 검색하여 정보를 취득하고 새로운 RDF 문장을 RDF 문서에 삽입할 수 있음
Proof/Trust - 웹의 정보에 대한 신뢰를 의미
RIF - Rule Interchange Format
- 규칙의 정의와 교환을 위한 계층

IV. LOD 활용사례

구 분 상 세 내 용
해외 DB pedia : 위키피디아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추출 커뮤니티
BBC : 영국공영방송
OCLC WorldCat’ 미국세계도서관검색포털
LOV 미국의 수많은 용어집을 보유
GeoNames 지리정보서비스
국내 공공WiFi 위치정보
생물도감 및 이미지, 표본사진 통합
유물/유적 데이터 등 국내 한국사와 관련된 자료를 통합

- 국가적으로 보존 및 이용 가치가 있는 자료로서 학술, 문화, 과학기술, 행정 등에 관한 지식정보자원을 디지털화 진행

 

V. 문서의 웹과 LOD 차이

- 웹을 활용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웹상의 정보를 공유연계재이용해서 가치를 창출하는 추세로 변하면서 정보의 의미적 연결을 지원하는 LOD에 주목

- 팀버너스리는 오픈데이터 형식품질, 재이용성 평가와 LOD 확산 유도를 위해 5스타() 전개(deployment) 스킴을 제안, LOD 형식 개방을 4, 5단계에 배치

- LOD는 웹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서 단위가 아닌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 있게 하이퍼링크로 연결하는 ‘데이터의 웹(Web of Data)’을 추구

 

5. 팀버너스리의 5스타 전개 스킴

 

 

[참고 – 합숙 2019.01 D5 1교시]

. 공공데이터 제공관리 단계

 

. LOD발행(Publishing 절차)

추가 : 119 기출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DB_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암기] DB튜닝  (0) 2024.05.03
[서브암기] 옵티마이저  (0) 2024.05.03
공공데이터  (0) 2023.08.30
New SQL  (0) 2023.08.29
DB Table partitioning  (2) 2023.08.28
공공데이터
(Open Data)
공공데이터 [정의] 공공기관이생성또는취득하여관리하고있는광(光) 또는전자적방식으로처리되어부호·문자·도형·색채·음성·음향·이미지및영상등(이들의복합체포함)으로표현된모든종류의자료또는정보
[오픈데이터플랫폼] CKAN : Comprehensive Knowledge Archive Network, 공공데이터개방지원플랫폼
[플랫폼기능] 데이터등록, 데이터발생, 데이터현황, 데이터포털, 데이터시각화
[기반기술] LOD, RDF, Semantic Web, URI, XML, Script
[데이터등급] 오픈라이선스(PDF), 구조화된데이터(Excel), 비독점(범용) 형식(CSV), URI사용(RDF), 다른데이터와링크(LOD)
[주요쟁점] 개인정보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거래정보법) 국회계류 -> 데이터개방지연
토픽 이름() 공공데이터
분류 MG > 범정부 IT전략/정책 > 공공데이터(Open Data)
키워드(암기) 오픈데이터 플랫폼, 품질관리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3.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다. 이런 개방되는 공공 데이터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평가 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8.05.응용.2
2 4. 정부3.0 시대에 발맞춰 중앙 부처는 정보 개방의 폭을 확대하고 국민 누구나 쉽게 찾아 이용할 있도록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공공데이터 제공 이용에 따르는 기본원칙, 주요 활용사례, 기대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1.응용.4
모의_2016.01.관리.2
3 최근 정부 3.0 기조에 맞추어 공공데이터에 대한 개방과 활용이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공공데이터 시각화의 개념, 공공데이터의 활용기법과 활용효과를 극대화 시킬 있는 시각화 기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5.11.응용.4
4 1. 공공데이터개방 기반기술인 LOD(Linked Open Data)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5.06.관리.1
5 3. 공공데이터 개방을 위한 오픈데이터 플랫폼 (Open Data Platform) 대해서 상술하시오. 모의_2014.06.공통.4
6 1.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영국, 미국, 호주 전세계 여러 국가들이 정부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효율적인 서비스를 추진 중이다.
. 오픈데이터 정책의 추진단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 주요 오픈데이터 플랫폼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모의_2014.05.관리.2

 

I. 신규서비스 창출과 알권리를 보장하는 공공데이터 개요 제21(공공데이터포털의 운영)



공공데이터 <공공데이터의 제공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공공기관이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되어 부호·문자·도형·색채·음성·음향·이미지 영상 (이들의 복합체 포함)으로 표현된 모든 종류의 자료 또는 정보
공공데이터 플랫폼 공공데이터의 개방 활용과 효율적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를 편리하고 손쉽게 개방, 활용케 하는 오픈소스 기반 플랫폼

공공데이터를 만들게 된 공무상의 최초 이용 목적 이외에 이용자에게 데이터를 재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제공받은 데이터를 영리적· 비영리적으로 이용할 권한을 부여.

 

II.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에 따르는 기본원칙과 플랫품의 기능과 역할

 . 공공데이터 제공 이용에 따르는 기본원칙

데이터 제공 측면 이용권의 보편적 확대 노력 공공기관은 공공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

이용에 대한 평등의 원칙 국민의 이용과 접근에 평등의 원칙을 보장해야 함

이용권 보장 이용자의 접근제한, 차단, 저해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 3 권리침해, 불법행위 악용하는 경우는 제외 됨.

영리적 활용 보장 공공데이터의 영리적 이용인 경우에도 이를 금지 제한하여서는 아니 된다. , 3 권리침해, 불법행위 악용하는 경우는 제외 .
데이터 이용 측면 이용자의 의무 준수 원칙 국가안전보장 등 공익이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아니하고 법령이나 이용조건 등에 따르는 의무를 준수해야 함.

- 공공데이터의 제공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3조에 기본원칙 명시

- 국가안보, 개인정보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한 공공데이터의 개방 자유로운 활용을 보장

 

. 공공데이터 오픈데이터 플랫폼의 기능과 역할


- 오픈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한 비용절감, 협업인프라, 인터페이스 향상

 

구분 설 명
데이터
등록
- 데이터 개방을 위해 데이터 업로드, 데이터 저장 등의 역할을 수행
- 데이터 등록을 위해 지원가능 한 파일 형식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API 추출 등의 기능 제공
데이터
발생
- 등록된 데이터에 대해 지원가능한 파일형태로 데이터를 제공
- 데이터 제공에 따른 보안, 표준 관리 기능
데이터
현황
- 사용자 관리자를 위해 데이터 출처, 분류, 내용 등이 포함된 데이터 카달로그
- 데이터의 원활할 사용을 위한 다양한 검색 기능
데이터
포털
- 사용자, 고객센터, 포털 운영 관련 서비스 지원 기능
기타 - 플랫폼 기술 수준에 따라 데이터 추출 및 필터링을 통한 도표, 그래프 시각화 기능

 

III.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및 품질평가

.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 테이터의 최신성, 정확성, 상호연계성 등을 확보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가치를 수 있는 수준

 . 공공데이터 품질평가

구분 설 명
목적 - 기관 자체적인 품질관리 역량을 축적하여 양질의 데이터를 관리, 개방활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관리체계 구축 도모
추진근거 - 「공공데이터법」제9(제공 운영실태 평가), 22(공공데이터의 품질관리)
평가항목 - 4 영역(계획·구축·운영·활용), 9 평가지표
평가지표 체계

평가등급 1등급 (최적확) - 조직 전체의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의 선순환 체계 확립
- 품질항상 유지가 보장됨

2등급 (체계화) - 조직 차원의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이행
- 체계적 수행 가능

3등급 (관리화) - 데이터 풀질관리 위한 필수적인 활동들이 관리 통제
- 품질향상이 가능한 수준

4등급 (도입) - 데이터 품질관리 인식
- 기초적인 품질관리 활동 도입 시작

5등급 (도입전) - 데이터 품질관리 인식 미흡
- 기본적 품질관리 활동 수행 불가능

 

IV. 공공데이터 주요 활용사례

구분 사례 설명 제공기관
교통 GPS Logger 측정소 정보 활용 한국환경공단

교통정보 CCTV 전국 도로 CCTV 영상 활용 EX한국도로공산, 공공데이터포털, 서울특별시

다방 아파트, 오피스텔, 단독/다가구의 전월세 매매 정보 활용 국토교통부
행정 해로드 해양관련 정보 활용 해양수산부

공무원연금 공무원 연금관련 정보 활용 공무원연금공단

뿡뿡이 전국의 공중화장실 정보 활용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
산업 나들가게 소상공인 상가업소 정보 활용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잡코리아 취업관련 정보 활용 고용노동부

CATCH JOB 12 가량의 기업 정보 활용 국민연금공단
의료 국가암정보센터 국립암정보 및 국립암센터 진료 일정 정보 활용 국립암센터

시각장애인편의센터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정보 활용 행정안전부

[추가]LOD

[잠고] 공공데이터 포털 시스템 구성도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DB_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암기] 옵티마이저  (0) 2024.05.03
개방형 연결 데이터(Linked Open Data)  (0) 2023.08.31
New SQL  (0) 2023.08.29
DB Table partitioning  (2) 2023.08.28
샤딩(Sharding) / Shard  (0) 2023.08.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