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A
(Business Impact Analysis)
[정의] 기업의 각 비즈니스 업무에 대하여 긴급 재난사태 , 비상상황 발생시의 영향도를 평가하고 복구우선순위 및 복구 목표를 정의하는 분석활동
[목적] 핵심 우선순위 결정(영향도가 가장 큰 업무), 중단시간 산정(최대 허용 가능한 Downtime을 산정), 요구자원 산정(업무별 자원 요구사항을 파악)
[절차] 대상업무선정 > 손실 정도 산정 > 복구우선순위도출 > 복구필요자원분석
[분석 방법]
1. 분석 관점
- 재무적 영향도 측면, 법/제도적 측면, 기업 운영 측면
- 브랜드. 시장/고객 평판 측면, 전략/마케팅 측면
2. 관점 별 수준 평가 - 각 5개 수준으로 평가
3. 최종 등급 판정 - 최종 4개 등급(광범위, 중요, 일반, 부분)으로 평가

*등급판정: 부분/국지적, 일반/제한, 중요/대형, 광범위/전파

핵중요
대손복필
토픽 이름 BIA(Business Impact Analysis)
분류 IT 경영전략 > BCP/BCM > BIA
키워드(암기) 핵심 우선순위 결정 (Critical Prioritization) 정량적/정석적 분석

중단시간산정 (Downtime Estimate) 재무적/비재무적 지표

자원요구 (Resource Requirements) 복구우선순위

관점별수준 (미미, 사소, 보통, 중요, 극심) RTO (Recovery Time Objectives)

최종등급 (광범위/전파, 중요/대형, 일반/제한, 부분/국지적) RPO (Recovery Position Objectives)

BCP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암기법(해당경우)  

 

기출문제

번호 문제 회차
1 14. BIA(Business Impact Analysis) 대하여 설명하시오. 합숙_2018.01_Day-2
2 2. A기업은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해 BIA(Business Impact Analysis) 수행하고자 한다. BIA 수행절차를 설명하고, [RTO(Recovery Time Objective) 0] 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합숙_2016.07_Day-4
3 3. BIA(Business Impact Analysis) 설명하시오. 합숙_2015.01_Day-4
4 AWS 장애, 삼성전자 평택사업장의 정전, 코로나 바이러스 등으로 디지털 블랙아웃과 비즈니스 중단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 기업은 사업연속성을 유지하기위해 BCP 수행하고 DRS 적정성에 대해 재검토 하고 있다.
 . BCP 수행하기 위한 절차
 . BCP 주요요소, BIA 수행하는 절차
 . BCP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량/정상지표
모의_2020.03.관리.4
5 5. 기업 연속성을 위한 BCP 프레임워크, BIA 절차 BIA 핵심도출사항을 설명하고, 비즈니스 중단시 영향 추산을 위한 활동 중 MBCO, MTPD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7.06_2
6 2. 최근 많이 발생되고 있는 각종 재해, 재난으로 인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할 있는 체계인 BCP 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효율적인 BCP 구축 절차와 업무영향도분석(Business Impact Analysis) 대하여 설명하시고, BIA 핵심 지표인 RTO(Recovery Time Objective) RPO(Recovery Point Objective) 설명하시오. 모의_2016.11_4
7 5. 업무연속성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수립을 검토하고 있다.
. 주요계획(재해예방, 대응 복구, 유지보수, 모의훈련) 대하여 설명하시오.
. BIA(Business Impact Analysis)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6.10_4
8 9.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에서 BIA(Business Impact Analysis)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모의_2015.07_1
9 업무연속성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수립을 검토하고 있다.
. 주요계획(재해예방, 대응 복구, 유지보수, 모의훈련) 대하여 설명하시오.
. BIA(Business Impact Analysis)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의_2015.06_4

 

I. 기업 비즈니스 연속성 보장을 위한 사업영향평가, BIA 개요

 . BIA(Business Impact Analysis) 정의

- 재해 발생 영향을 미칠 있는 단위업무를 정의하고, 업무중단 영향에 대한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통해 복구 우선순위 복구목표도출하는 과정

  - 비즈니스 중단 시 기업에 비치는 재무적, 비재무적 손실 영향을 평가하는 BCP의 핵심절차

 . BIA의 목적

구분 설명
핵심 우선순위 결정
(Critical Periodization)
영향도가 가장 큰 업무를 우선 복구하여 피해 최소화
중단시간 산정
(Downtime Estimate)
최대 허용 가능한 Downtime 산정하여 서비스 연속성 보장
요구자원 산정
(Resource Requirements)
업무별 자원 요구사항을 파악, 원활한 재해복구 지원

 

II. BIA 수행 프로세스 분석방법

 . BIA 수행 프로세스

 

  - 재무적, 비재무적 지표에 따른 손실 산출 복구 순위 도출

 

 . BIA 관점별 분석방법

1. 분석 관점 2. 관점별 수준 3. 최종 등급 판정
– 재무적 영향도
– 법/제도 측면
– 기업운영 측면
– 시장/고객 평판
– 전략/마케팅
 미미함
 사소함
 보통
 중요함
 극심함
 부분/국지적
 일반/제한
 중요/대형
 광범위/전파

 

 . BIA 통한 주요 도출 지표

지표 설명 사례
RTO 업무 재개 위한 필요 시간 2시간, 7, 1개월
RPO 핵심 업무 복구 수준(백업) 특정 백업 시점
RSO 네트워크 복구 수준 계정계정보계대외계
RCO 복구 대상 핵심 업무 주요 영업점 영업점
BCO 백업 센터 구축 목표 DR센터 시스템 구축

     BCO(Backup Center Objective)

 

 . BIA 결과 기반 복구목표 산정 DR 센터 구성방안

최종 등급 RTO / RPO DR센터 대상 사례
 부분/국지적 8H / 10D Cold 검증계테스트
 일반/제한 6H / 7D Warm 백업파일 서버
 중요/대형 2H / 12H Hot 정보계경영정보
 광범위/전파 0H / 4H Mirror 계정계온라인금융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망분석  (0) 2024.01.15
DRP  (0) 2024.01.14
Data Mining  (1) 2024.01.12
공유경제(sharing economy)  (2) 2024.01.11
섭테크  (0) 2024.0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