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sharing economy) | [정의] 개인이 소유하고 있으나 활용하지 않는 물건 또는 지식, 경험, 시간 등의 유·무형 자원을 상호대여 하거나 교환함으로써 거래 참여자가 상호편익과 적정이윤을 얻는 경제활동 방식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의 상세설명] 온라인 플랫폼 - 개인간 거래 활성화 및 적정 규모의 시장 확보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상호 당사자간의 신뢰 - 거래 당사자간 신뢰 확보를 위한 평판 시스템 구축 하위 수익모델 - 수수료 중심인 수익구조를 다변화하기 위해 하위 수익모델 개발 병행 필요 [사례] - 배민키친, 에어비앤비, 공유베터리, 공유자전거, 쏘카, 알라딘, Yes24, 배민커넥트 유니콘기업 성공전략 연계 |
크라우드펀딩 |
토픽 이름 | 공유경제 |
분류 | MG > 기타 > 공유경제 |
키워드(암기) | 상호대여, 교환, 상호편익, 적정이윤 |
암기법(해당경우) |
기출문제
번호 | 문제 | 회차 |
1 | 8. 공유경제의 개념 및 기업의 주요 활용 사례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합숙_2016.07.공통. 5일 |
I. 좀 더 스마트해진 아나바다 운동, 공유경제의 개요
- 개인이 소유하고 있으나 활용하지 않는 물건 또는 지식, 경험, 시간 등의 유·무형 자원을 상호대여 하거나 교환함으로써 거래 참여자가 상호편익과 적정이윤을 얻는 경제활동 방식
목적 | 설명 |
자원절약 | - 대여로 인한 불필요한 구매를 막음으로써 자원절약 |
공동체 의식 회복 | - 내 것이 아닌 함께 사용하는 것에 대한 공동체 의식 회복 |
지역 경제 활성화 | - 공유경제 활동으로 발생한 수익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 함. |
II. 공유경제의 비즈니스 모델 및 비즈니스 모델 설명
가. 공유경제의 비즈니스 모델

- 공유경제로 인하여 다양한 플랫폼이 구축되고 수익모델 발전
나.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의 상세설명
구성요소 | 설명 |
온라인 플랫폼 | - 개인간 거래 활성화 및 적정 규모의 시장 확보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상호 당사자간의 신뢰 | - 거래 당사자간 신뢰 확보를 위한 평판 시스템 구축 |
하위 수익모델 | - 수수료 중심인 수익구조를 다변화하기 위해 하위 수익모델 개발 병행 필요 |
III. 공유경제 서비스 유형 및 공유경제 활동
가. 공유경제 서비스 유형

나. 공유경제 활동 사례
구분 | 사례 | 설명 |
자산 임대 |
Forage Kitchen |
- 요리를 좋아하는 사람끼리 공동주방에서 경험을 공유하는 소통의 장 마련(미국) |
배민키친 | - 맛집 점주는 조리공간을 제공받고 인근 지역 주민은 앱을 통해 주문 | |
에어비앤비 | - 비어 있는 방이나 집을 대여할 수 있는 숙박 공유 플랫폼 제공 | |
서비스 제공 |
공유 보조배터리 |
-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어디서든 쉽게 충전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 공유 서비스 |
공유자전거 | - 간단한 절차와 비용으로 자전거를 이용하는 서비스 | |
공유 우산 | - 우산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잠금이 풀리고 결제 후 사용가능 | |
쏘카, 그린카 | - 앱으로 예약하고 결제하면 차를 빌릴 수 있는 카쉐어링 서비스 | |
매매 /교환 |
알라딘, Yes24 | - 중고책을 사고 팔 수 있는 서비스 제공 |
아름다운 가게 | -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기증한 물건을 수선하여 되팔아 생긴 수익을 기부 |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A (1) | 2024.01.13 |
---|---|
Data Mining (1) | 2024.01.12 |
섭테크 (0) | 2024.01.10 |
에이블테크(AbleTech) (0) | 2024.01.09 |
에듀테크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