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TO 2024.01.04 2
  • DRS 2024.01.03 1
RTO
(Recovery Time Objectives)
[RTO]
Recovery Time Objective, 재해복구 시간목표 (업무 관점)
예) 업무중단시점부터 ‘업무’가 복구하여 가동될 때 까지의 시간목표

[MTPD]
Maximum Tolerable Period of Disruption, 운영 중단 최대 허용 기간

[MBCO]
Minimum Business Continuity Objective, 사업연속성 최소 목표

 

 

토픽 이름 () RTO, RPO, RSO, RCO
분류 MG > BCP > RTO, RPO, RSO, RCO
키워드(암기) 재해복구, 업무복구, 업무재계, 비상계획, RTO, RPO, RCO, RSO, BCO
암기법(해당경우)

 

번호 문제 회차
1 8. 재해복구 시스템(DRS) 구축 유형 주요 지표(RPO, RTO, RSO,
RCO) 대하여 설명하시오.
합숙_2019.01.5일차

 

I. RTO, RPO, RCO, RSO, BCO 개념


- BIA(Business Impact Analysis) 통해서 서비스에 대한 MTD(Maximum Tolerable Downtime, 한계복구시간) 설정 후 RTO/RPO 설정

 

II. 주요지표(RPO, RTO, RSO, RCO) 세부 설명

구분 설명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 업무중단 시점부터 데이터복구되어 다시 정상 가동 될 때 까지 시간
- 데이터가 복구되어야 하는 시점
RTO
(Recovery Time Objective)

- 업무중단 시점부터 업무복구어 다시 가동될 때까지 시간
- 재해 복구 목표 시간 설정
RSO
(Recovery Scope Objective)
- 재해 목표 복구 범위의 선정
- 계정계, 정보계, 대외계, 인사관리 시스템, CMDB, 메일 등

RCO
(Recovery Communication Objective)
- 각종 통신메체들의 복구를 통해 복구 대상 NW의 정상 가동 재개 시간 범위를 정의하는 NW 복구 목표
- 본점과 지점, 영업점 , 고객 접점

BCO
(backup Center Objective)
- 재해복구를 위한 재해복구센터의 활용방안과 구축 형태를 정의하는 백업 센터 구축 목표

- BIA 통해 비즈니스 중요성 시스템 비용 등의 Trade-off를 고려해 최적의 값 설정 중요

 

 

참고] RTO & RPO

  1. BCP 핵심 지표 RTO, RPO 개념
RTO(Recovery Time Objective) RPO(Recovery Point Objective)
- 재해로 인하여 서비스가 중단되었을 때, 서비스를 복구하는 데까지 필요한 최대 허용 시간
- 특정 백업 시점(단일 마감, 재해 발생 시점)
- 재해로 인하여 중단된 서비스를 복구하였을 때, 유실을 감내할 있는 데이터의 손실 허용 시점
- 고려된 RTO 구축비용에 반비례하여 재해 발생손실에 비례
  • RTO 정상 가동까지의 시간이며 RPO 복구 가능 시점 관련 지표
  1. RTO RPO 관계도 RTO/RPO 따른 DR 유형 결정 방법
    1. RTO RPO 관계도

 

  • 시스템, 비즈니스 영향도 고려한 RTO, RPO 선정 필요
유형 RTO RPO 비고
Mirror Site 0(이론적) 0 WAS, 높은 비용
Hot Site < 수시간 0 데이터 실시간 미러링
Warm Site 수일 ~ 수주 약 수시간 ~ 1 중요성이 높은 정보기술 자원
Cold Site 수주 ~ 수개월 수일 ~ 수주 데이터만 원격지 보관
  1. RTO, RPO 설정 고려 사항

[참고] BCP에서의 지표설명

  1. 지표 별 의미 및 예
구분 설명
RSO Recovery Scope Objective , 재해복구 범위목표
) 계정계, 정보계, 대외계 등의 재해시 복구목표(Web, Mail,ERP,EIP)
RTO Recovery Time Objective, 재해복구 시간목표 (업무 관점)
) 업무중단시점부터 ‘업무’가 복구하여 가동될 때 까지의 시간목표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재해 발생시 데이터 손실을 수용할 있는 시간
재해복구 시점목표 (데이터 관점)/ 전일 마감 데이터 백업 시점
) 업무중단시점부터 ‘데이터’가 복구하여 가동될 때 까지의 시간목표
RCO Recovery Communication Objective, 네트워크 복구 수준
) 본점과 지점간의 네트워크 복구등의 네트워크 복구목표
BCO Backup Center Objective, 백업센터목표(백업 센터에 재해복구 시스템 구축)
) 독자구축, 공동구축, 상호구축 구축형태 목표
MBCO Minimum Business Coontinuity Objective
최소 비즈니스 업무 연속성 목표
MTPD Maximum Tolerable Period of Disruption
최대허용가능 중단기간
  1. 지표별 재해복구시스템 유형
지표값 재해복구 시스템 유형
RPO = 0 & RTO = 0 Mirror Site
RPO = 0 & RTO < 수시간 Hot Site
RPO, RTO 1 Warm Site
RPO, RTO 수일 ~ 수주 Cold Site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커머스(Data Commerce)  (0) 2024.01.06
ISP  (1) 2024.01.05
DRS  (1) 2024.01.03
ESG 경영  (0) 2024.01.02
BCP/BCM  (0) 2024.01.01

 

DRS
(Disaster Recovery System)
[정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비상 대비체계 유지와 각 업무 조직 별 비상사태에 대비한 복구계획 수립을 통한 업무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체제
[기능요소]
- 시스템 : IP-SAN, DWDM, HA, FT,
- 네트워크 : L2~L7 스위치, Backbone Router, QoS, WAN, FDDI
[기술요소]
HA(High Availability) - 최단 복구를 위한 H/W Clustering 또는 Stand-By 형태
FT (Fault Tolerant) - 실시간 복구가 가능한 Dual 시스템
IP-SAN - SAN Traffic을 IP Packet에 실어 전송
DWDM -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고속의 Data 전송을 위한 통신,고밀도파장분할다중화
[DR센터 구축유형]
Mirror(RTO = 0), Hot(RTO <= 2H), Warm(RTO <= 1W), Cold(수개월)
[운영형태]
상호계약형, 공동계약형, 외주위탁형, 독립구축형
[복구 절차]
업무영향분석 > 재해복구 전략 수립 > 시스템구축 및 복구계획수립 > 운영 및 모의훈련
[지표] RTO,RPO,RSO,RCO

 

토픽 이름 () DRS
분류 IT경영전략 > BCP > DRS
키워드(암기) Mirror, Hot, Warm, Cold site, RSO, RTO, RPO, RCO, BCO
암기법(해당경우)

 

번호 문제 회차
1 BCP(Business Continuity Plan) DRS(Disaster Recovery System) 비교하시오 응용 862교시
2 DRS(Disaster Recovery System) 구축과 관련하여
  ) 구축방식 구축을 위한 요건
  ) 구축절차, 구축시 고려사항
  ) 대량의 Transaction 처리해야 하는 시스템의 가동센터와
 DR센터 간의 거리가  100km 이상되는 환경에서 실시간 Transaction 정합성을 보장하기 위한 DRS구축방안에 대해 기술하시오.
응용 842교시
3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위한 DR(Disaster Recovery)센터의 기술형태의 유형인, Mirrored site Hot site Warm site Cold site란 무엇인가 관리 771교시
4 BCP, DRS 구축 방안 응용 743교시
5 8. 재해복구 시스템(DRS) 구축 유형 주요 지표(RPO, RTO, RSO, RCO)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합숙_2019.01.5일차

 

I. 업무 연속성을 유지할 있는 체계, DRS 개요

. 정의

- 정보시스템에 대한 비상 대비체계 유지와 각 업무 조직 별 비상사태에 대비한 복구계획 수립을 통한 업무    연속성을 유지할 있는 체제 

. DR의 필요성

- 고베대지진, 911테러, 2003 인터넷 대란 재해 장애 상황에서 재해 복구를 통한 서비스의 연속성 필요

- 업무 중단으로 인한 기업 손실 신뢰도 하락을 방지

 

II. DRS 구성도 기술요소

. DRS의 구성도

 

- 메인센터와 재해복구센터 간의 이중화된 IT센터를 구축

- 대용량 데이터 복제를 위한 양단간 DWDM 장치가 필요하며 복제 솔루션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전송

 나. DRS 기술요소

기술 요소 설명
HA(High Availability) - 최단 복구를 위한 H/W Clustering 또는 Stand-By 형태
FT (Fault Tolerant) - 실시간 복구가 가능한 Dual 시스템
IP-SAN - SAN Traffic IP Packet 실어 전송
DWDM -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고속의 Data 전송을 위한 통신,고밀도파장분할다중화

 

III. DR센터 유형

. DR센터 유형

구분 내용 목표시간
Mirror Site - 센터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처리 운영하며, 재해발생 시 즉시 대체 가동 RTO = 0
Hot Site - 전산센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자원 확보
- 데이터 실시간 이중화
RTO <= 2H
Warm Site - 주요업무처리를 위한 일부 장비를 구비하고, 재해발생 주요 업무만 복구하여 운영하는 형태 RTO <= 1W
Cold Site - 기본시설만 확보하고 재해 발생 전산기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대체 가동 수개월

 

. 운영형태별 DR센터 유형

유형 내용 장단점
상호계약형 - 유사기관 간에 상호 백업 방식
- 평소 상호 원조 관계를 갖고 비상시 지원하는 형태
- 장점: 신규투자비용 절감
- 단점: 상호시스템 변경 작업 종속, 자체 운영 업무 생산성 저하 위험
공동이용형 - 여러 기관이 공동 출자하여 백업센터 건립 운영 - 장점: 공동 투자에 따른 비용 절감, 운영 요원 공동 활동 가능
- 단점: 지역적 재해 발생 백업 센터를 동시에 사용하면 자원 사용에 제약 발생 가능성
외부위탁형 - 재해 복구 전문 서비스 기관에 위탁 운영 - 장점: 신규 투자비용 저렴, 전문자원기술 활용 가능
- 단점: 보안 문제, 서비스 기관의 도덕적, 기술적 신뢰성
독자구축형 - 독자적인 백업센터 구축/운영 - 장점: 데이터 보안 유지, 독자적 기술적용 용이, 재해시 즉시 대처 용이
- 단점: 막대한 구축 비용 소요, 자체 운영 요원 필요

 

 

IV. 재해복구 구축 절차

- 업체별 상황에 맞는 RTO(Recovery Time Objective, Downtime 허용할 있는 최대시간)    RPO(Recovery Point Objective, 재해발생시 Data loss 량을 시간으로 환산) 산정

  - IT Consolidation 통하여 TCO 절감

 

 

V. 재해복구 전략수립

. 이상적인 재해복구 센터 위치

- 재해복구센터는 지진, 전쟁, 홍수 등을 고려하여 100Km 이상의 원격지에 구축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국내의 환경(지진발생 가능성이 낮음) 고려하여 재해 발생시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에 기관이 선정. 금감원 ‘금융기관 IT부문 비상대응방안’ (2001.10)

 

VI. DRS 구축 효과

 

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 > IT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P  (1) 2024.01.05
RTO  (2) 2024.01.04
ESG 경영  (0) 2024.01.02
BCP/BCM  (0) 2024.01.01
SLA  (1) 2023.12.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