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 출제예상 | 번다운차트 | [정의] Agile 프로젝트기반 조직에서 점수(Story Point)를 산정하여 Sprint 계획대비 현재진행을 파악할 수 있는 차트 스토리포인트(Story Point) 산정, Sprint 진척률 가시화 ----- Burn down(소멸차트) 상세설명 기울기를 통하여 작업수행 속도 판단 Story Point 산정 및 담당 업무할당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 진척에 역효과 발생. 적절한 이해관계자 들간의 범위 및 일정조율 중요. |
Burn-dwon Chart, Burn-up Chart, 기능 차트 |
토픽 이름 | 번다운차트(Burn down) |
분류 | PM > Agile > 번다운차트 |
키워드(암기) | 번업차트, 스토리포인트(Story Point), Sprint 진척률 가시화 |
암기법(해당경우) | 번쓰 (번다운/스토리포인트/스프린트) |
기출문제
번호 | 문제 | 회차 |
1 | Burn-down chart와 EVM를 비교하시오. | 합숙.2014.7.26.1교시.3 |
2 | 11. Burn down char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모의.2011.01.1교시.11 |
3 | Agile 프로세스가 국내에 많이 도입이 되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로서, 프로젝트마다 개별 개발방법론과 프로세스의 테일러링이 필요하다. 다음 질문에 대해 설명하시오. 가. SW의 획득가치기법인 EVM과 Burn Down Chart를 비교하시오. 나. 린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7개 원칙에 대해 5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다. Kanban과 린 프로세스를 비교하시오. |
2016.01.27(수) 5일차 2교시 7번. 108회 대비 |
4 | Burn-down chart와 EVM를 비교하시오. | 2014.07.28(월) 3일차 1교시 3번. 104회 대비 |
I. Scrum의 Sprint 일정관리 도구, 번다운차트 개요.(서론)
- Agile 프로젝트기반 조직에서 점수(Story Point)를 산정하여 Sprint 계획대비 현재진행을 파악할 수 있는 차트
- 스토리포인트(Story Point) 산정, Sprint 진척률 가시화
II. 개념도(구성도) 및 기술요소
가. Burn down(소멸차트) 개념도
- 점수(User Point)를 지정하여 Sprint 기간에 계획대비 완료한 현재의 진행을 가시화
나. Burn down(소멸차트) 상세설명
구분 | 설명 |
가로축 | 시간 축으로 스프린트 반복 주기 날짜수 |
세로축 | 완료된 작업의 추정 일수(스토리 포인트로 표현) |
계획 그래프 | 처음 계획을 세웠을 때 날짜로 남은 작업량 표현 |
실제 그래프 | 작업을 수행하면서 실제로 남은 작업량 |
- 기울기를 통하여 작업수행 속도 판단
- Story Point 산정 및 담당 업무할당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 진척에 역효과 발생. 적절한 이해관계자들간의 범위 및 일정조율 중요.
III. Burn-Down Chart와 EVM의 비교
[참고] EVM과 Burn Down Chart 프로젝트 적용 방안
'정보관리기술사 > 소프트웨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특징 (0) | 2024.03.09 |
---|---|
Architecture (0) | 2024.03.08 |
CI, CD (0) | 2024.03.06 |
Lean(린) (1) | 2024.03.05 |
Kanban (4) | 2024.03.04 |